정치에 대한 관심...중요하죠 but

정치에 대한 호기심은 충분히 자라났지만, 그 호기심을 책임 있는 참여로 이끌려면 실제적인 경험이 더해져야 해요. 그래서 지역 수준에서의 선거 참여부터 시작하면 좋겠어요.

만 16세 이상의 청소년이 정책을 제안하거나 투표할 수 있는 모의 선거부터 정례화해보면 어때요? 그렇게 시작하면 자연스럽게 선거 참여의 기준도 생길 수 있을 것 같아요.

냅다 투표 참여하라면서 참정권 쥐어주기보다 몇년을 투표 관련 교육을 하면서 진행하는게 맞지 않을지..

0
0
댓글 16
  • 프로필 이미지
    뽀얀둥이
    동감이에요. 정치 경제 사회등 교육을 좀더 강화해서 투표권을 주는 식으로 하면 좋겠어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교육이 없이 주어진 권리는 제대로 활용되지 못할 수 있어요. 그래서 교육과 참여는 항상 함께 가야 해요.
  • 프로필 이미지
    jamy
    청소년이 정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 정당들도 청소년 정책에 더 관심을 갖게 될 거예요ㅎㅎㅎ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맞아요 당장은 힘들지만 정치의 기본 개념조차 어려워하는 청소년에게 바로 투표권을 주는 건 무책임할 수 있어요. 그런 무책임을 줄이려면 준비가 필요해요.
  • 프로필 이미지
    므므므
    맞습니다 사회적 경험이 필요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선거권을 부여하려면, 아이들이 사회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충분히 알 수 있어야 해요. 그런 이해는 교육을 통해 생겨날테니;까요 
  • 프로필 이미지
    versache
    물론 모든 청소년이 정치에 관심이 많다고는 할 수 없지만, 그것이 권리를 제한할 이유는 아니라고 봐요. 성인 중에도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은 많으니까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청소년이 가진 사고 능력을 무시해서는 안 되지만, 그 능력을 키우기 위한 시간은 필요해요. 그 시간을 교육으로 채워야 해요.
  • 프로필 이미지
    장동화#me2a
    그런 방법도 참 좋네요. 그렇게 교육 부터 시작하면 좋겠어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정치와 관련된 기초 개념을 학습하지 않고는, 참여의 의미가 흐려질 수 있어요. 그래서 교육은 필수적이에요.
  • 프로필 이미지
    르티나
    그런 교육이 먼저 이루어진다면 정말 좋겠네요. 좋은 생각이에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ㄱ그쵸 ??권리는 의무와 함께 다뤄져야 균형이 맞아요. 아이들이 투표의 권리만 배우는 게 아니라 책임도 이해하게 해야 해요.
  • 프로필 이미지
    우주주
    그런 교육 너무 좋을 것 같습니다. 청소년들에게 좋은 영향이 될 것 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청소년이 정책의 흐름을 따라가고 판단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에요. 그 어려움을 극복하려면 준비가 필요해요.
  • 프로필 이미지
    주하찌
    그런 방법도 정말 참 좋네요. 정치에 작게 참여 하는 것 부터 시작하면 좋을 것 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단순히 참여 기회를 주는 게 아니라, 그 참여가 의미 있게 작동하도록 돕는 게 중요해요. 정치 교육이 그 핵심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