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이 목소리 내는것도 중요한데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삶에 영향을 주는 정책에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한다 생각하긴 하거든요?? 하지만 그 목소리가 제대로 들리려면 사회가 함께 도와주는 장치도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리는 나이에 따라 주어지더라도 경험을 통해 책임감 배우는게 우선아닐까요??

만 16세부터 지방선거에 참여하는 방식은 부담도 적고, 정치 교육의 실제 효과도 확인할 수 있어 좋아 보여요. 다양한 방식으로 점진적 참여 모델을 실험해보면 좋겟어요

 

0
0
댓글 9
  • 프로필 이미지
    둥둥다#x1tC
    대통령선거말고 교육투표애권한이 있으면 좋갯내요
  • 프로필 이미지
    자이로토닉
    누구나 관심을 가지고 표할 수 있는 분위기가 이루어져야해요 하한 조절 동의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미어켓
    이미 외국에서도 시행중이고 어른들보다 이성적인 판단을 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죠
  • 프로필 이미지
    안진영#rpov
    여러 가지 모델을 도입해보면 좋겠네요
  • 프로필 이미지
    코히
    청소년이 배제 되지 않는 정치가 필요할 것 같긴 해요
  • 프로필 이미지
    김수로
    개인적으로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당장은 반대고 제도적으로 안정적으로 흡수할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봐요
  • 프로필 이미지
    뽀얀둥이
    다양한 방식으로 점진적인 변화를 가지는게 좋을거 같아 보이네요.
  • 프로필 이미지
    versache
    제 생각으론 ㅎㅎ지금의 청소년은 학교와 사회를 통해 민주주의를 체험하고 있어요. 그 경험을 선거라는 실제 제도로 연결해보는 건 좋은 교육이 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