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런 도입보다는 천천히

청소년의 목소리는 분명히 의미 있지만, 아직 사회 구조나 제도 전반에 대한 이해는 부족할 수 있다생각하거든요 그래서 학교와 사회가 함께 돕는 훈련 기간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점진적 도입은 모두가 적응할 시간을 갖게 해줘서 혼란을 줄일 수 있어요. 무엇보다 신뢰와 책임을 함께 키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거같기도하구요.정치에 대한 호기심은 충분히 자라났지만, 그 호기심을 책임 있는 참여로 이끌려면 실제적인 경험이 더해져야 해요. 그래서 지역 수준에서의 선거 참여부터 시작하면 좋겠습니다 ㅎㅎㅎ

0
0
댓글 15
  • 프로필 이미지
    제이에잇
    책임감 있는 참여가 중요하죠
    • 프로필 이미지
      versache
      작성자
      그쵸 조금씩 시도해보며 제도를 보완하고, 필요한 교육을 강화하면 충분히 안정적인 시행이 가능하다고 봐요
  • 프로필 이미지
    라스리링
    맞아요 먼훗날 시간이 흐른후
    바뀔순있다쳐도 지금은 아니지요 
    • 프로필 이미지
      versache
      작성자
      청소년도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목소리를 낼 자격이 있어요. 다만당장은 무리고 그 자격을 투표를 통해 확인하고 존중해주는 게 필요해보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자이로토닉
    저도 이 의견에 동의합니다 뭐든 급하게 하면 안돼요
    • 프로필 이미지
      versache
      작성자
      그쵸 ㅎㅎㅎ청소년에게 투표권이 주어지면, 자연스럽게 정치 교육도 더 중요해지고 활성화되겠죠. 이는 전반적인 시민의식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거예요.
  • 프로필 이미지
    미어켓
    동감합니다. 정치경제교육을 강화해서 투표할 수 있게하면 좋겠네요
    • 프로필 이미지
      versache
      작성자
      한 번에 모든 걸 바꾸는 건 어렵겠지만, 지방선거나 모의선거처럼 단계적인 접근부터 시도해보면 좋겠어요
  • 프로필 이미지
    청년피자
    점진적 도입으로 훈련 해야 할 것 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versache
      작성자
      마자요 실질적인 참여 기회를 늘리는 게 핵심이에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동의합니다 요즘 청소년들은 학교와 온라인을 통해 다양한 사회 이슈에 관심을 갖고 있기도 하고
    • 프로필 이미지
      versache
      작성자
      그쵸 청소년이 참여해야 청소년 정책이 더 현실적이고 다양하게 다듬어질 수 있어요
  • 프로필 이미지
    jamy
    아직 정치에 무관심한 청소년도 많긴 하지만, 참여 기회를 늘리면 자연스레 관심도 커질듯
    • 프로필 이미지
      versache
      작성자
      맞말이세요 당사자의 의견이 반영되는 구조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 프로필 이미지
    복덩이
    저는 책임을 질수없어서 안된다고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