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천히 길을 만들어가보는것도 좋아보여요

솔직히무조건 나이만 갖췄다고 해서 모두 같은 수준의 판단을 기대할순 없다생각하거든요

 

현실과 다를 수 있으니, 청소년 내부에서도 다양한 관심도와 준비도가 있다는 걸 인지하고 교육을 해야 한닥소 생각합니다 솔직히 무작정 도입할건 아니라 생각해서 학생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격차가 매우 크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예를 들면, 투표를 원하거나 관심이 있는 청소년부터 자발적으로 모의 투표나 정치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가는거부터 시작하는게 하나의 방법일 수 있구요

0
0
댓글 26
  • 프로필 이미지
    미어켓
    청소년들도 정치에 관심을 가진다면 충분히 올은 판단을 할 수 있겠죠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선거권은 단순한 자유가 아니라, 숙고를 전제로 한 권리라고 생각해요. 그런 숙고의 능력은 교육 없이는 길러지기 어려워요.
  • 프로필 이미지
    pp9297
    그래도 아직은 일러 보이네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어느정도는 동의해요 ㅎㅎㅎㅎㅎㅎㅎ청소년이 올바른 정치 참여를 하려면, 먼저 시민 교육이 내실 있게 마련되어야 해요. 교과서 지식만으로는 부족하죠.
  • 프로필 이미지
    동도로로로#YVmc
    애들 과자 달라고 과자
    주는거랑 다른 문제에요
    애들 해달란 댜로 오냐오냐 금쪽이로 키우는 것도 애들한테 좋은 교육방식은 아님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투표는 곧 나라의 방향을 정하는 중요한 결정이에요. 그런 중대한 결정을 위해선 교육을 통한 준비가 반드시 필요해요.
  • 프로필 이미지
    동도로로로#YVmc
    아니면 본인이
    중3때를 샹각해보세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정치에 대한 흥미와 관심은 교육을 통해 점차 커질 수 있어요. 관심만큼 책임도 함께 키워야 하니까요.
  • 프로필 이미지
    JI S#NJZI
    길을 만드는것 좋네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그쵸?청소년의 정치 참여가 긍정적인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준비 기간이 필요해요. 그 준비의 핵심이 바로 교육이에요.
  • 프로필 이미지
    Honey Love#xVEP
    나이 들어서 정치인이신분들 많지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교육을 충분히 받은 청소년은 더 깊이 있는 참여를 할 수 있어요. 그래서 선거권 부여는 무작정 빠르게 할 일이 아니라고 봐요.
  • 프로필 이미지
    dongs
    너무 급하게 할 필요는 없을 거 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청소년의 선거 참여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는 사전 교육이 꼭 필요해요. 교육을 통해 정치에 대한 올바른 시각을 갖게 되는 거죠.
  • 프로필 이미지
    제이에잇
    모의투표를 활성화해보는 것도 좋겠네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단순히 투표라는 행위만 익히는 게 아니라, 그 의미와 책임을 이해하게 하는 게 중요해요. 그런 맥락은 교육 없이는 어려워요.
  • 프로필 이미지
    멜론수박
    모의투표를 해 보는 식으로 하는 건 좋겠네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네 모의투표 좋아보여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누군가는 청소년이 감정적으로 휩쓸릴 수 있다고 걱정하지만, 그건 어른도 마찬가지잖아요. 다만 연령별 특성을 고려해 점진적으로 권리를 확장하는 건 충분히 의미 있다고 봐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교육과 실제 참여 사이에 단계적인 연습이 필요해요.
  • 프로필 이미지
    jamy
    청소년의 정치 감수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어요. 그만큼 제도도 천천히 변화해야 조화롭게 어우러질 수 있어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아이들은 훈련받을 기회 없이 갑자기 선거권을 얻는다면 혼란스러울 수 있어요. 그래서 체계적인 준비 과정이 필요해요.
  • 프로필 이미지
    versache
    청소년을 무조건 미성숙하다고 단정짓는 건 편견이에요. 지금은 예전과 달리 청소년들도 사회 현상에 대한 감각이 뛰어난 경우가 많아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그렇지만 선거 제도나 정치 구조에 대한 기초 지식 없이 투표하는 건 위험할 수도 있어요. 그런 지식은 교육을 통해 제공해야 해요.
  • 프로필 이미지
    햇살
    정치에 아무 관심 없는 청소년들이 솔직히 훨씬 많을거라고 생각하네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그쵸 솔직히 일베 영향 받는 애들도 많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