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도입하는건 반대예요

청소년이 다양한 정보를 접하고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이 뛰어난 건 분명하지만, 

정치란 단순히 정보 소비를 넘어서 복잡한 이해관계와 책임을 수반하는 영역이기도 하잖아요. 

처음부터 너무 많은 부담을 지우기보다는 경험과 연습을 통해 정치적 판단력과 책임감을 쌓아가는 기회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1
0
댓글 12
  • 프로필 이미지
    동도로로로#YVmc
    대학생이 되서해도 충분
  • 프로필 이미지
    동도로로로#YVmc
    어떤 근거로 글쓴이에게 하는말은 아니고 어떤걸 보고 요즘 애들이 의식이 성숙하다고 하는지 전 공감이
    안되요 물론 개인차는 있겠죠
  • 프로필 이미지
    미어켓
    학교에서 정치에 관한 교육을 강화한뒤 투표참여를 시작해도 좋을거 같네요.
  • 프로필 이미지
    채규일#t1JH
    한 지도자의 잘못된 선택은 유권자뿐아니라 청소년들에게도 영향을 미칩니다.
    오히려 조기 교육을 통해 바른 유권자로서 빠르게 키우는게 더 나은 선택일듯싶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샤인데이지#3zUw
    바로 도입하기 보다 정치적 판단력과 정치적 판단력을 쌓을 수 있는 어느정도 계도기간이 필요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슈퍼스티셔스
    맞아요 자라나는 청소년 입장에서는 부담되는 일이죠~ 성인돼서 투표해도 충분해요
  • 프로필 이미지
    Honey Love#xVEP
    고등학생은 미래 취업에 공부를 열심히나 하자요
  • 프로필 이미지
    dongs
    사회적 합의가 먼저 필요하죠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맞말이세요 청소년의 의견이 공론장에 들어올수록 우리 사회는 더 풍부해질 거
  • 프로필 이미지
    versache
    선거권을 갖는 건 단순히 표를 던지는 일이 아니라, 공동체를 함께 고민하는 시민이 되는 과정이라고 생각해요. 청소년들도 그 과정에 점차 참여할 수 있어야 해요.
  • 프로필 이미지
    햇살
    어른들도 그렇지만 미성년들은 더욱더 가스라이팅 선동되기 쉽다 봅니다
  • 프로필 이미지
    혀니닝
    청소년이의 선거참여는 시기상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