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봉투법 반대

이미 우리나라는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법이 비교적 탄탄하게 제정되어 있습니다. 반대로 사업주를 보호하기 위한 법은 점점 약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노동자의 권리가 점점 강해지고 노조 활동이 더 강력해진다면 한국에 투자할 해외기업은 없습니다. 현재 국내 상황이 내수는 한계에 부딪혔고, 국제적인 자국 우선주의 기조가 확산하여 수출도 막혔습니다. 천연자원 마저 적은 이 나라에서 일자리의 수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노조가 너무 강력하여 노동자를 쉽게 해고하지 못해서 정규직 채용은 점점 위축되고, 청년 일자리는 거의 없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이제 더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 할 수 없는 사람들은 그에 맞는 일을 찾아 떠나고, 창의적이고 똑똑한 젊은 사람들을 위해 기성세대도 양보해야 나라가 부강해질 것입니다.

 

부가가치를 크게 뽑아낼 수 없는 사람들이 자리를 차지하는 것도 비효율적입니다. 충분한 세수 확보 없이 이루어지는 복지는 나만 잘살자는 기성세대들의 이기적인 행태일 뿐입니다. 젊은 사람들은 왜 힘든 일을 안하냐며 자꾸 사지로 내몰지 말고, 본인들이었으면 과연 그 일을 찾아서 했을 지를 생각해봐야 합니다. 그렇게 필요한 일이면 본인들이 하면 되는 일입니다.

 

미래세대를 위해서는 노동자의 권리는 일부 내려놓을 필요가 있습니다. 기업의 권리가 지나치게 강해지는 것만 경계를 잘한다면 서로가 윈윈 할 수 있는 방법이 나올 것입니다.

0
0
댓글 8
  • 프로필 이미지
    꿈과희망을드려요
    서로 윈윈하는게 진짜 좋은 방법인데 어려운 난제네요
  • 프로필 이미지
    마마스#AESB
    그래도 불법 점거로 인한 피해는 누가 책임져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elio#swS4
    하청노동자도 보호해야되는 부분에 필요성을 느껴요 위험한 일은 다 하청하청으로 내리고 본사는 꼬리짜르죠 이부분은 교정이 필요해요
    • 프로필 이미지
      月明 김#O71m
      맞습니다 그 부분은 진짜 교정이 필요 합니다
      하지만 그 교정을 위핸 과정에 기업이 일방적으로 손해를 보지 않아야 한다는거죠
      기업도 교정이 필요하다 하면 그걸 준비하는 과정에 어느 정도 추가 지출을 각오하고 준비해야하는데 강제로 손해만 준다면 기업은 반발이 심할 수 밖에 없겠죠
  • 프로필 이미지
    토끼님#xWWo
    글로벌 문제도 고려해야겠어요~~ 기업이 세계와 경쟁을 해야되니까요 자국민도 노동자로 보호해야되구요 어렵네요 
    • 프로필 이미지
      月明 김#O71m
      그래서 내수가 약한 국가는 자국민이 어느 정도 희생이 강제 되는 부분이 존재 하는것 같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JOSIS
    이번 사례는 노동자가 법적 위험 없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제도의 필요성을 보여줍니다.
    
  • 프로필 이미지
    조병윤#XfbR
    전형적인 포퓰리즘 정책이죠...한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