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회 할말이슈] 노란봉투법의 의미

노란봉투법이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2조·3조 개정안

별칭: 노란봉투법 (건설 현장 임금체불 항의 시 사용된 노란 봉투에서 유래)

2025년 8월 24일 국회 본회의 통과, 공포 6개월 후 시행 예정

 

현대제철이 비정규직 노조를 상대로 제기했던 46억원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취하했다는 소식은 단순한 기업의 법정 전략 변경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노란봉투법 통과를 앞두고 나온 이 결정은 한국 노사관계의 판도 변화를 예고하는 상징적 사건이다.

 

2021년 현대제철 사태는 한국 노사관계의 민낯을 보여준 대표 사례였다.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며 50여 일간 농성을 벌인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향해 기업이 쏘아 올린 것은 무려 246억원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이었다. 노동자 1인당 평균 1억원이 넘는 천문학적 금액이었다.

 

이런 거액 손배소는 사실상 '노조 길들이기'의 수단으로 작용해왔다. 개인이 감당하기 어려운 배상금 위험 앞에서 노동자들은 정당한 권리 행사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노사 간 힘의 균형을 근본적으로 왜곡시켰다.

 

현대제철의 손배소 취하는 노란봉투법이 이미 현실에 미치고 있는 영향력을 보여준다. 법 시행을 6개월 앞두고도 기업들이 전략을 수정하고 있다는 것은 이 법안의 실효성을 간접적으로 입증한다.

 

노란봉투법의 가장 큰 의의는 노동쟁의에서 발생하는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함으로써 노동자들이 위축되지 않고 정당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점이다. 또한 하청 노동자들도 실질적 사용자인 원청과 교섭할 수 있게 되어 간접고용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전망이다.

 

현대제철의 손배소 취하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앞으로 더 많은 기업들이 과도한 손배소 대신 합리적 대화를 선택하게 될 것이고, 노동자들은 위축감 없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될 것이다.

 

노란봉투법이 진정한 성공을 거두려면 법 조문의 완성도뿐만 아니라 이를 운용하는 노사의 성숙함이 필요하다. 대립보다는 대화를, 힘의 논리보다는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해야한다.

0
0
댓글 17
  • 프로필 이미지
    우당탕#ICFv
    노사의 성숙도가 답이네요
    대립만 가득한게 현실이죠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맞아요, 그게쉽지않은듯해요
  • 프로필 이미지
    최가네#2rt8
    의미도 생각할줄 아는 셔플러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감사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뽀얀둥이
    노조도 더이상 앙탈만 부리는건 국민들이 동감하지 못하죠  귀족노조라는 말이 괜히 나온건 아니니까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서로 타협점을 찾는게 중요한데
  • 프로필 이미지
    염곡전사#sSYR
    서로양보하고 경청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가장 중요한부분이라 생각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이영찬#Q1bY
    누가 발명한  법인지 잘 모르겟으나,   이 노란봉투법은  없어져야 할 악법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금두꺼비
    오징어 게임에 이런 대사가 있습니다.  "  제발!  그만해 ~  이러다 다 죽어 . " 
    라고 말입니다.   과연  소멸되고  없어지는 것이    기업뿐이겟습니까 !?!? 
  • 프로필 이미지
    이상준은 황금두꺼비이다.
    이런 법이 계속 존재한다면,  대한민국 사회는 위기에 봉착할 것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왜 그런거죠?
  • 프로필 이미지
    ForKinuCLS
    노란봉투법 시행되면 노사 균형에 변화가 있겠네요.
    합리적 대화로 가는 시작일 수도 있겠어요.
    
  • 프로필 이미지
    박지수#nlZF
    노란봉투법 지나친 특혜 아닌가요?
    
    
  • 프로필 이미지
    박지수#nlZF
    회사 입장도 좀 고려해야 하지 않나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노동법은 아직도 한국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기에 아쉬운부분이 많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JOSIS
    노동자가 법적 위협 없이 권리를 요구할 수 있어야 진정한 사회 정의가 실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