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회 할말이슈] 야생돌물 카페 금지법

 

 

야생동물 카페는 라쿤, 너구리, 토끼, 여우, 파충류 등 흔하게

일상에서 반려동물로 기르지 않는 종을 주로 취급하는 카페 입니다.

일반 음식점으로 등록이 되어있는 경우가 많고, 거기에 상주하는 동물들 3-10마리 정도가

손님들과 교감하고 손님들이 먹이를 주는 형식으로 운영해나가는 카페이죠.

 

허용과 금지를 논하기 전에 장/단점을 먼저 나열해 보자면, 장점은 아래 세가지와 같습니다.

(1) 흔하지 않은 다양한 동물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접근성

(2) 동물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개선

(3) 산업이 커짐에 따라 발생되는 이익과 사회적 가치에 투자되는 선순환 효과 기대

     ex) 동물복지, 기부, 유명인 홍보 등

 

단점은, 

(1) 동물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한 인력이 동물의 각 특성에 맞게 기를 수 없어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지 못함

(2) 관련 법규가 규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감염병, 인력, 세금, 현황, 피해 보상 사례 등

    문제 발생 시 해결  방안이나 선례가 뚜렷하지 않음

(3) 동물 전시는 점차 동물 학대 문제로 사라지고 있는 추세

 

항상 금지하고, 억압하고, 없애고 한다고 100% 사라지는 건 없습니다.

자유 민주주의에서 100%는 없는 법이고 단지 이미 그런 상황이 발생한 것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고 개선해야 하는 의무가 인간으로서 있는 것이죠.

 

각 각의 장 단점을 생각해 볼 때, 장점도 분명히 무시 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1)번의 단점은 전문 인력을 고용, 구축하여 파충류카페는 파충류 전담 사육사로, 포유류 카페는 포유류 전담 사육사를 배치하는 등으로 충분히 보완 가능합니다.

(2)법은 항상 실제보다 느립니다. 지금 현황에 맞게 수정해나가고 보완할 수 있는 점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3)동물 전시로 접근하기보다, 동물에 대한 긍정적인 케어로 전문성을 갖춘 업체 및 인력을 배치 하면 충분히 개선 가능한 부분입니다.

 

무조건 반대, 금지보다는 이런 일이 생겨난 원인을 분석하고

보완해가는 열린 사고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발생한 일에 대해서

이랬어야지, 저랬어야지 하는 결과론적인 사고는 앞으로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1
0
댓글 29
  • 프로필 이미지
    인어공주#jkdn
    장점 단점을 조리있게 적어놓으셨네요
    어차피 야생동물 카페 금지하라고 명령했고 아직 4년이란 긴시간이 있어서 하나씩   천천히 해결하면  될거라고 생각해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단점은 당연히 보완하라고 있는거고, 무조건 금지 한다는건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너무 섣부른 판단 같네요.
  • 프로필 이미지
    다동두
    생각치 못했던 부분들도 잘 정리해서 써주셨네요!!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감사합니다. 토론을 좋아하기도해서요;)
  • 프로필 이미지
    박곰돌#VqBu
    이해하기 쉽게 잘 적으셨네요 이제 불법으로 운영하는 카페들은 야생동물 만지고 먹이주기 금지되어 있고 신고를하면 4년 유예기간이 있네요 신고를 한 카페든 불법으로 운영했던 카페에 있는 야생동물들이 전부 안전하게 보호소에 갔으면 좋겠네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동물을대하는걸 보면 그 나라를 알수있다고하죠. 금지가능사는 아닌거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싱글라이프#XGkG
    장점 단점을 구체적으로 잘 정리해 주어서 판단에 도움이 될 것 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나는나#vCbC
    흔하지 않는 다양한 동물을 접할 수 있는 점은 좋은것 같군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어떤 것이든 장단점은 있으니까요. 잘이용해도될거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이정숙#6PkK
    어떠식으로든 동물에게 해가 되지 않도록 잘 처리됐으면 좋겠어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저도 보호하고 법 안에 잘 관리하면 좋은 방안이라생각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이소민#8HYF
    장단점 정리를 잘 해놓으셨네요 좋은쪽으로 해결이 되길 바랍니다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모두가노력하면 가능할거라 생각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돌희랑#e977
    이렇게 꼼꼼하게 정리한 글 정말 잘봤습니다 감사해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에멘탈#Prcp
    전문인력을 고용해서 전담 사육사로 두는것도 좋겠어요. 그치만 현실이 어렵죠ㅠㅠ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현실이 어려워도 개선해야죠.
  • 프로필 이미지
    로즈윤
    맞는 말씀이세요. 법은 항상 실제보다 느리죠. 면허제를 도입해서 케어를 할 수 있는 인력을 배치하면 좋겠네요. 특히나 이미 야생성을 잃은 동물들에게는 (3)이 가장 현실성 있어보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맞아요, 케어할 수 있기만 하면 정말 좋은 제도라고 생각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영선이
    장사가 잘 되지 않을경우 동물들이 방치되고 있을거 같아요 ㅠ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법망을 촘촘하게 잘 관리해야겠죠.
  • 프로필 이미지
    뽀얀둥이
    야생동물뿐만 아니라 반려견 카페도 상업적으로 소득이 없으면 개들을 버리고 폐업해버리는게 많은데 야생동물은 더하다고 봐요. 장점보다는 단점이 더 많아보이네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그래서 제도적으로 보완이필요한거죠.
  • 프로필 이미지
    냉삼
    물들도 스트레스 받을텐데 철장안에서 살기보단 야생으로 돌려보내는 편이 좋을것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제 논점은 이미 벌어진일에 대해 결과론적으로 대하는것보다는, 개선점을찾자는 것이었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지코바#swkz
    적어주신 장점이 딱히 동물들에게는 장점이라고 보여지는 부분이 없는거같네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동물에게 필요한점이라면, 그냥 야생으로 되돌려보내는건가요? 이미 터전을 잃은 종이 많은데 인간이 사라져야 진정한 야생도성립하지 않나요? 
  • 프로필 이미지
    여닝입니다
    야생동물을 상업적으로만 이용하고 책임지지 않는 사람들이 문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