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도 부담스러워하는 제도를 굳이 국내에 도입하려하는지??

미국에서도 부담스러워하는 제도를 굳이 국내에 도입하려하는지??

 

ㅁ 미국은 팁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

 

한국인이 미국으로 건너 갔을때 많이 당황해하는 문화가 '팁 문화'라고 합니다.

'팁 문화'라 쓰고 '팁 세금'이라고 읽으면 될듯싶습니다.

왜냐하면 미국에서 팁은 자발적으로 주는 선택이 아니라 강제이자 의무사항입니다.

 

식당 종업원은 물론 택시와 우버 같은 플래폼 기사에게도 팁을 줘야한다고 합니다.

또한 음식 배달기사에게도 배달비와는 별도로 팁을 주고,

심지어는 음식을 본인이 받아서 '테이크아웃' 하는 카페에서도 팁을 줘야한다고 합니다.

 

이거 그냥 무시하고 안 주면 되지 않냐고 하실수있지만

일정 금액 이상의 팁을 지불하지 않으면 

종업원이 노골적으로 소비자를 무시하거나 조롱한다고 합니다.

 

또한 직원이 쫓아나와서 "뭐가 문제였냐?", "왜 팁을 안 준 거냐?"며 따질정도라고 합니다.

결국 팁은 그냥 세금처럼 서비스를 친절하게 잘하든 못하든 줘야한다고 합니다ㄷㄷ

 

ㅁ 많이 부담스러운 미국의 팁 문화!

 

미국에서도 부담스러워하는 제도를 굳이 국내에 도입하려하는지??

 

미국 기준으로

과거엔 점심은 음식값의 10%, 저녁은 15% 정도 팁으로 주면 적당하다고 했는데

최근엔 점심 15~18%, 저녁은 20~30%가 기본이 되었다고 합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음식값이 미친 듯이 올라 10%도 부담이 되는데

점심 15~18%, 저녁은 20~30%가 기본이 되었다니ㄷㄷ

 

하나의 예시로 들자면 

2023년 기준 김밥 한줄이 미국 기준 10달러선이었고,

2인 외식을 생각하는 경우 

음료수와 세금, 팁까지 합하면 

100달러 이상 깨진다고 생각하고 가시면 된다고 합니다!

 

ㅁ 미국의 팁문화는 결국 업주들이 최저임금을 보장하지 않기에 생겨난거!

 

사실 미국도 처음부터 팁문화가 있었던건 아니라고 합니다.

1800년대 유럽을 방문했던 미국인들이 하인들에게 

자율적인 선행으로 행하던 행위가

요새는 제도처럼 굳어져서 반강제화가 되었다고 합니다.

 

팁을 꼭 줘야하는 이유는 고용주들이 종업원에게 최저임금을 보장하지 않는 이유가 크다고 합니다.

미국의 대다수 식당에서는 종업원 각자가 받는 팁을 고용주가 지급하는 법정 최저임금 한도를 채우는 

보전 수단으로 활용한다고 합니다.

 

텍사스나 플로리다 등과 같은 주에서는 시간당 30달러(4만원) 이상의 팁을 받는 근로자들에겐 

고용주가 연방 최저임금인 시간당 7.25달러 대신 2.13달러만을 지급해도 된다는 이야기 입니다.

한마디로 손님들에게 팁 받으니 

고용주는 최저임금 안 줘도 '합법'이라는 이야기 입니다!

 

외식업체에선 물가 상승으로 인해 높아진 식재료 원가로 인해 

메뉴 가격을 낮게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주장하지만

누가 봐도 

직원들에게 정해진 임금이 아닌 준자발적 세금의 형태로 

직원의 인건비를 고객에게 전가하는 행위로 볼 수 있습니다ㄷㄷ

 

ㅁ 한국의 카카오택시에도 팁문화 도입!

 

미국에서도 팁문화가 없다가 유럽을 다녀온 미국인들이 배워온 유럽의 팁문화로 인해

자발적이던 선행이 거의 조세처럼 팁을 내야하는 케이스로 

굳어져버린 역사가 있습니다.

 

미국은 이제 식당 종업원은 물론 택시와 우버 같은 플래폼 기사에게도 팁을 주고

배달원에게도 주고, 심지어는 테이크 아웃을 해가는 사람에게도 팁을 요구한다고 합니다.

 

이런 팁문화가 한국에서도 제도처럼 굳어져버릴까 걱정이 됩니다.

당연히 너무 친절한 서비스에 감동해서 요금 외에 추가적인 팁을 드릴수도 있지만

이게 미국처럼 굳어져버려 제도화가 된다면

이젠 <팁을 내지 않는 사람들의 서비스는 개판으로 해줘도 된다>가 될까 우려됩니다.

 

미국에서도 부담스러워하는 제도를 굳이 국내에 도입하려하는지??

 

기사에서 제시한 택시요금 비교도 물가를 고려하지 않은 단순 비교인거 같아서 설득력이 부족한거같습니다.

OECD 기준으로 비교했다면 그나마 비교하기 좋았을텐데요.

한국 택시기사분들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제대로 돈벌이를 못하고 있다는걸 보여주고 싶었던거같은데

그렇다고 팁문화 도입이 정당화되는 거 같진 않습니다.

 

 

미국에서도 부담스러워하는 제도를 굳이 국내에 도입하려하는지??

 

대한민국 택시기사분들의 처우가 열약하다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생각을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수입이 적어 택시기사 때려치고 배달플래폼으로 넘어가는 분들을 잡기 위해

기본요금 올리기를 이미 시도했고 

추가적으로 이런 팁문화 확산으로 추가 수입까지 안겨 

배달 플래폼으로 택시기사분들을 못 떠나게 하려는 대형 택시 플래폼의 꼼수가 아닐까 의심이 됩니다.

(어차피 카카오택시측은 기존 어플 프로그램에 기능 추가만 하면서 추가비용 없이 택시기사분들의 만족도와 편익은 올릴수있으니깐요!)

 

가득이나 서민들은 택시요금 무서워서 특별한 상황 아니면

타지도 못하는 택시인데 거기에 팁까지 은연중에 택시 이용객에게 유도하는 건 아닌거같습니다.

 

 

 

 

 

 

 

13
0
댓글 30
  • 프로필 이미지
    박범철#FJtX
    자료가 엄청나네요 긴 글 읽어보니 더욱더 팁문화 반대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채규일#t1JH
      작성자
      미국의 팁문화가 우리나라에도 반강제로 시행될까 우려되어서 써보았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옹동
    미국 안가렵니다 물가도 비싼데 팁까지 있네요
    • 프로필 이미지
      채규일#t1JH
      작성자
      미국은 음식값도 비싼데 거기에 팁까지 덧붙여서 내라고 하니...
  • 프로필 이미지
    진쿄
    우리나라 정서랑은 너무 안 맞는 문화예요 팁 문화 반대
    • 프로필 이미지
      채규일#t1JH
      작성자
      미국에선 정당하게 최저임금대로 주면 될텐데 팁받는다고 최저임금대로 안 줘도 합법이라니ㅎㅎ
  • 프로필 이미지
    이소은#mLQU
    부담스러운 제도예요
    • 프로필 이미지
      채규일#t1JH
      작성자
      맞습니다.
      팁이 반강제되면 국내 도입시 더 택시를 안 탈듯해요.
  • 프로필 이미지
    weyuis
    정말 외국여행갔을때나 영상들 보면 팁 비중도 상당하긴하더라구요
    이게 한국에도 도입된다하면 정말 공포네요 반대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채규일#t1JH
      작성자
      우리나라 부가가치세율 10%를 뛰어 넘는 수준이니ㅎㅎ
      팁이 팁이 아닌게 되버리네요.
  • 프로필 이미지
    ..#5M3e
    스트레스받는 일이  늘어났네요
    그나라 안가고싶네요
    • 프로필 이미지
      채규일#t1JH
      작성자
      미국의 스트레스 받는 팁제도를 왜 굳이 도입하려는지 모르겠네요ㅎㅎ
  • 프로필 이미지
    ㆍ6567
    지랄들 하고있네
  • 프로필 이미지
    한채원#sivo
    팁 문화는 아닌거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채규일#t1JH
      작성자
      한국서 굳이 결재할때 팁을 추가할 필요가 있을까 싶어요.
  • 프로필 이미지
    ForKinuCLS
    택시도 수요와 공금에 맞춰 고객이 없고 수입이 줄어든다면 택시의 수도 줄여야겠죠. 자유시장원리에 맞겨야죠...
    • 프로필 이미지
      채규일#t1JH
      작성자
      택시기본요금이 서민들은 타기 부담스러울만큼 올라버린거같네요.
      그러니 더 택시를 특별한 상황아니면 잘 안타게 되네요.
  • 프로필 이미지
    Jollyroger#3Mim
    현금영수증 발행도 안되것네
  • 프로필 이미지
    라일리#Ijzy
    달에 500~600벌면 연에 3000 버는건가요? 택시운전하시는 이웃집 할아버지 얘기 들어보면 부지런히 일 하면 500~600 체력이 안되어서 그리 못 할 뿐이라 하시던데
    그럼 택배운송업도 문제있는거 아닌가??
    • 프로필 이미지
      채규일#t1JH
      작성자
      "달에 500~600벌면 연에 3000 버는건가요?"
      라고 하셨는데 이해가 잘...
      
      저는 기사에서도 다루었던 객관적인 대한민국 택시의 통계 지수를 사용했습니다. 
      그래서 언론사와 기자님 성함도 같이 캡처한겁니다.
      
      택시운전으로 달마다 500~600만원 버시는 특수한 케이스를 
      일반화해서 말씀하시는건 좀^^;;
  • 프로필 이미지
    햇살
    말이 팁이지 그냥 돈 더 달라는 소리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채규일#t1JH
      작성자
      미국에서도 스킵 버튼이 있지만 
      종업원이 뻔히 보고 있고 팁 액수를 알고있는데 거기서 팁 메뉴를 스킵하려는 간 큰 손님은
      거의 없다고 하네요. 
  • 프로필 이미지
    ?#nAij
    버스비도 모이면 꽤 되어 부담스러워 가까운 곳은 도보로 갑니다. 전체적인 물가가 높아서 택시를 안 타는 게 당연하지 않나요? 팁 준다면 더더욱 안 탈 듯요
    • 프로필 이미지
      채규일#t1JH
      작성자
      저도 술 회식하면 가끔씩 택시 타는데 탈때마다 너무 돈아깝더라구요.
      심야시간에 요금문제로 손님들과 싸우는데 거기에 팁문화까지 생기면ㅠ
  • 프로필 이미지
    치즈빙수
    그러게나 말이에요 이미 하는 해외에서도 싫어하는데 말이죠 정성스러운 글 감사해요
    • 프로필 이미지
      채규일#t1JH
      작성자
      미국같은 팁문화가 될까 걱정되어요.
      치즈빙수 님의 따뜻한 말씀 너무 감사해요 😊 
  • 프로필 이미지
    잔..#CEhH
    팁이 선의에서 민폐로 변질된 것도 노동자 임금을 팁으로 대체하기 때문이죠. 아무도 반기지 않는 팁을 굳이 도입하려고 애쓰는 사람들도 동기는 같다고 봅니다. 팁을 요구하는건 종업원이지만 그 이익을 취하는건 종업원이 아니라 팁을 감안해 저임금을 주는 업주죠
    • 프로필 이미지
      채규일#t1JH
      작성자
      제 글이 표현하고 싶었던 핵심을 정확히 꿰뚫는 안목이신거 같습니다^^
      팁이 선의가 아닌 반강제가 되어버리면 안됩니다. 
  • 프로필 이미지
    능력자#0Ik2
    팁은 업주가 부담해야될걸 손님한테 전가하는 아주나쁜짓임
    • 프로필 이미지
      채규일#t1JH
      작성자
      미국 팁 문화에 이런 속사정이 있다는 걸 아니 더 우리나라에 정착 하지 않았으면 좋을거같더라구요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