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부검, 안심마을, 의무 교육 등 여러 제도가 도입됐지만 예산이 턱없이 부족했어요.

자살예방 정책은 늘 계획만 화려하고 현장은 빈약했습니다.
심리부검, 안심마을, 의무 교육 등 여러 제도가 도입됐지만 예산이 턱없이 부족했어요.
이런 상황에서는 이름만 남고 실효성ㅇ은.././글쎄요???예산을 늘리는 것뿐 아니라 집행의 우선순위를 재조정하는 것도 필요해요.
생명과 직결된 영역을 가장 먼저 챙기는 게 맞습니다.
단기성과에 집착하지 말고 장기적으로 자살률을 낮추는 체계를 만들어야 해요.

0
0
댓글 8
  • 프로필 이미지
    minimoni
    직장 내 정신건강 관리자 제도를 설치하여 조기 개입을도왔으면..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국민이 믿을 수 있는 예방망을 만들려면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minimoni
    청소년 대상 예방 교육은 실천 중심으로 구성하여 행동 변화를 유도해야 합니다요.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동의요 지역마다 특성에 맞는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면 자율적인 재원이 필요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봉봉이이
    자살률 높은데 손놓고만 있다니 안타까워요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안타깝죠 ㅠ장시간 대기 없는 상담 서비스가 제공돼야 위기 개입 효과가 커잘거같은데..
  • 삭제된 댓글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위기 발생 시 즉시 지원되는 소액 긴급 자금 지원 제도를 운영하면 좋겟네요 
  • 프로필 이미지
    이소은#mLQU
    맞어요 예산이 부족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