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예방정책은 인력과 예산 지원이 필요합니다.

지난 9월 12일 국무총리 주재로 자살예방정책위원회를 열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 자살예방정책의 중장기 방향을 제시하고 범정부 차원에서

시급히 추진할 분야별 과제를 구체화하기 위해 2025 국가자살예방전략을 심의, 의결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 5년 내 자살자 1만명 이하로 감축하는 목표를 제시했으며,

자살시도자 관리 강화와 자살 유족 일상 회복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지자체별 자살예방관을 지정하고, 인공지능 상담과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2004년부터 자살예방기본계획(5개년)을 5차례 수립했지만 뚜렷한 효과는 없었습니다.

근본적닌 해결이 아닌 긴급조치와 심리 치료 중심으로 대응이 이루어졌고,

효과가 있는 사업은 인력, 예산의 한계로 확대가 어려웠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앞으로 자살 예방 교육을 통해 생명존중 인식 개선이 필요하며

언론에서도 자살보도 권고기준을 준수해야 할 것입니다.

현장 인프라 및 인력 충원과 예산 지원으로 자살예방정책의 현장 대응력을 키워야 합니다.

 

국민의 생명 보호을 위한 자살예방정책으로 자살공화국이란 오명에서 벗어나길 바래봅니다.  

 

0
0
댓글 14
  • 프로필 이미지
    우당탕#ICFv
    예산과 인력이 문제지요
    해결되겠죠
  • 프로필 이미지
    완소#vilD
    사람 생명이 제일 중요한건데 이런 곳에 예산을 쏟아야지 엉뚱한 곳에 돈이 나가니 참 답답해요
    • 프로필 이미지
      이미선#EzaG
      완전 공감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박하사탕
    참 너무 황당한 결과였어요
    근데 해결해야죠 이제라도
  • 프로필 이미지
    미미#Ux5N
    김제영 님의 글을 보니 자살예방정책의 현주소와 문제점이 명확히 드러나는 것 같습니다.
    단기간의 임시방편보다 중장기적인 전략과 충분한 인력, 예산 투자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특히 현장 인프라와 상담 인력 부족 문제는 정책의 실효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기에 더욱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생명존중 문화 확산과 언론의 책임 있는 보도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모두가 힘을 모아 ‘자살공화국’이라는 오명을 벗어나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 프로필 이미지
    나는엄마다
    잘 해결되었으면 좋겠어요
    대한민국 자살율 1위 안했으면 좋겠고요 
  • 프로필 이미지
    김수정#TCVi
    이건 정말 쉽지 않은 문제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이미선#EzaG
    정부의 의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금두꺼비
    자살하고 싶다.  우울하다. 그래서, 정신과 병원을 갔다고   라고 이야기 했더니,
    그 이야기를  들은   나쁜 이승훈은  "  형, 정신 병원 갔다왔잖아 !?!   
    라고 하더군요.   아예 사람을 매장 시키더라ㄱ구요  
  • 프로필 이미지
    이상준은 황금두꺼비이다.
    예산과 인력을 늘리지 않으면,  수 많은 사람들이 자살자로 내몰릴 것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가을이왔다
    정부의 대책에도 자살예방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군요.
    예산과 인력이 충분히 지원되어야 변화가 생길 것 같아요.
    진정으로 생명을 존중하는 사회가 되길 바랍니다.
    
  • 프로필 이미지
    반달진
    여태까지 제자리걸음이라는 게
    참으로 안타깝기만 하더라구요
  • 프로필 이미지
    #given
    지역공동체의 회복 역량을 높이기 위해 주민 주도 프로그램을 지원해보는것도 좋을듯하네요
  • 프로필 이미지
    #given
    헬프라인 응답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인프라 투자를 확대할필요 잇어보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