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의 증가는 문제가 아니라 현상인거 같네요.
이전에서도 서플에서 다루었던 N포세대의 증가나 황혼 이혼등 사회문제가 1인가구의 증가라는 비정상적인 현산으로 나타나는게 아닌가 합니다.
각종 기업체에서 1인 가구를 위한 각종 서비스를 발맞추어 제공하고 있는것에 비해서 정부정책은 조금 소극적인 느낌은 있습니다.
그러나 1인가구를 위한 정책서비스를 무조건적으로 늘리고 시행하는건 우리나라 실정에 맞지 않는다고 봐요.
우리가 북유럽처럼 복지를 위해 세금 비율이 높지도 않을 뿐더러 누군가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누군가의 주머니에서 돈을 빼야하는데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소득의 절반이상을 아무말 없이 내고 싶은 분이 계실지 의문이네요.
1인가구를 위한 정책은 최소한의 보조적인 수준을 유지하되 1인가구가 발생되는 원인 N포세대의 감소등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방안 모색이 더욱 중요하다고 봅니다.
더많은 사람이 결혼을 하지 않고 출산도 하지 않는데 늘어나는 1인가구를 위한 정책지원은 밑빠진 독에 물붓기나 마찬가지라고 생각해요. 1인가구가 살기 좋은 사회가 된다면 너도나도 1인가구가 되겠죠..
요점은은 1인 가구의 증가는 문제점이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인한 결과라고 생각해요.
1인가구를 위한 정책지원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것은 1인가구가 증가할 수 밖에 없는 사회적 시스템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