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회 할말이슈] 무인점포 전성시대

 

 

한국의 무인점포는 최근에 많이 보이는 점포 양상인데, 사실 여러가지 문제가 많죠.

사실 코로나로인해 올라야할 물가가 고정되어있다가 급상승했죠, 잃어버린 3년인것 같은데

마침 이 물살을 타고 무인점포가 우후죽순 번지기 시작했어요.

 

사실 저는 이게 한국의 치안이 안전하다는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단점도 너무 많아

분명히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다만 그를 상쇄한 사업적 이점 즉,

돈에 관련된 부분이 이득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해관계상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가 되지 않을까

예측도 했던 부분입니다.

 

무인점포의 장점

1)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관리비 부담

2) 24시간 운영 가능, 시간에 구애받지 않음

3) 키오스크 등 IT 기술과 접목하기에 최적화됨

4) 인력 채용/관리 등에 대한 스트레스가 없음

5) 야간, 여성, 미성년자 근무 시 업무상 사건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없음.

 

무인점포의 문제점

1) 절도/주취자 등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발생>사업주 부담이 아닌 사회적 부담으로 전가됨(경찰 공무원 인력 투입이 되는 경우가 증가함)

2) 낮은 수준의 비전문 노동력의 퇴화, 즉 일자리 상실

3) 소비자와 기업의 소통 부재로 인한 개선 및 문제점 해결 방법 부재

 

분명히 사업주 입장에서는 혹할만한 사업 아이템입니다. 입지만 잘 놓고 가끔 관리만 하면 '양심'이 있는 고객들이 결제를 해서 물건을 사가는 시스템이니 이렇게 좋을 수가 없습니다.

 

최근에는 하이브리드형으로 미리 카드를 삽입 후에 승인 후 점포에 입장 가능하게 한 편의점들도

많이 도입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는 절도를 예방하는 동시에 어느정도의 수입수준과 신뢰관계가 보장 된 고객들이 무인점포에 들어오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