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회 할말이슈] 법정 정년 상향 이제는 논의할 시점

 

 

법정 정년을 5년정도 상향하는 주제를 두고 의견을 서술하기에 앞서

1961년 설립 된 OECD 기준으로 평균 기대 수명을 10년단위로 보면 이렇습니다.

 

한국의 평균 기대수명 추이

(출처: 지표누리, 통계청 참고)

1970년: 62.3세​

1980년: 68.1세​

1990년: 71.7세​

2000년: 76.0세

2010년: 80.2세​

2020년: 83.3세​

2023년: 83.5세

 

불과 50년만에 평균 기대수명은 21년 정도가 늘었고, 이는 한국이 의료 수준

그리고 국민의 전반적인 생활 수준이 상승 했음을 알려주는 바로지표입니다. 다만 2013년부터 정년을 60세로 규정했으며, 이는 80세를 평균 수명에 근거 해 정한 기준이라 볼 수 있습니다. 법정 정년을 65세로 두고 있는 OECD기준에도 5세가 모자랍니다.

 

기사에도 언급 되었듯이, "세부 연령별로 비교했을 때는 2023년 70세의 기능상태가 2011년 65세와 비슷한 수준이었다고 이 교수는 전했다."

사실상 건강 노화 나이가 계속 늦춰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다만 단순히 정년을 연장한다고 해서 모든 사사회적 문제가 간편하게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이전에도 여러 전문가들이 우려해왔지만, 한국은 25년에 한국은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고 있으며, 2050년에는 인구의 40% 이상이 65세 이상이 될 전망입니다. 정년 연장은 이미 정년층의 반발을 살 가능성도 커 보입니다. 국민연금이 5년 이후로 연장되면서 연금을 받는 기간이 늦춰지기 때문입니다.

20대의 경우 일은 더 하고, 개편 된 국민연금안에 따라 연금은 늦게 받아 불만이 커질 수 있습니다.

 

 

또한 정년이 연장되면 청년들의 일자리 부족 문제도 생겨나게 됩니다. 가장 큰 부분이 경제적, 의료적 부분일 것이라 생각됩니다. 고령화 사회 진입을 먼저 해 각종 문제를 겪고 현재 안정기에 다다른 일본의 선례를 벤치마킹하는 것도 부작용을 줄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재고용, 임금 피크제 등을 도입하여 정년층의 고용으로 인한 기업의 고용 부담을 줄이 되, 사회적으로

빈곤한 정년층이 생기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60세 이상 근무는 주 5일>2일로 축소, 공공서비스 일자리 확대(파트타임), 단계적 퇴직제 등으로 고용이 매우 유연한 구조가 되어야 합니다.

1
0
댓글 33
  • 프로필 이미지
    임영훈#YNMK
    일단 제도적으로도 엄청 신경써야할 부분들이 많은데 정책결정자들이 그다지 유능하다고 신뢰하기도 어려워서 문제가 많이 생길듯 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저도 매우 우려되는 부분이 그거네요. 주로 노인층이고...
  • 프로필 이미지
    모나미청하
    확실히 논의는 필요하고 유연한 근무구조가 요구되는 것도 시대적인 주류인데, 지금의 청년들에게 더 많은 희생을 강요할 필요까지 있는가 싶습니다.. 그들이 장년층을 돌보는 셈이 될 텐데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맞아요, 참 아이러니한 현실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박하사탕
    청년 일자리도 중년 일자리도 없고
    물가는 고공행진이고 참 살기 힘든 세상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정년퇴임을 해줘야 새로운 인력이 들어가는 구조가 형성되는데...
  • 프로필 이미지
    내가원조별나라
    정년이 연장되면 청년들 일자리가 부족하다고 하니 쉽게 연장하자는 얘기도 못하겠네요. 근데 요즘 60세는 한참 일할수 있는 나이이긴 한거 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맞아요, 참 아이러니 하죠 수명은 계속 길어지고.. 방법은 없고.
  • 프로필 이미지
    아르바이트
    논의가 분명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해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많이 늦어진 게 사실이죠.
  • 프로필 이미지
    작고귀여운오리91
    맞습니다 정년 늘리는 건 좋은데, 임금체계도 같이 손봐야 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저도 동의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양진국
    정년 연장은 꼭 해야 합니다. 그래야 장년층들이 살기가  좀 수월할거 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미래 세대를 자꾸 갈아넣는 한국이 걱정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효자유치원
    시대가 다르고 평균 수명이 달라진 만큼 상향 조정 필요하다고 봅니다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맞아요, 다만 젊은이들을 갈아 넣지 않도록...
  • 프로필 이미지
    빽다방단골
    평균 수명이 엄청 연장된 대에 비해 60세 정년은 너무 뒤쳐져있네요
  • 프로필 이미지
    걱정인형
    청년들의 일자리라 정년을 늘린다고해서 문제가 더 커지고 늘리지 않는다고해서 줄어든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 프로필 이미지
    나루나루얌
    신중하게 결정할 문제라고 생각되네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다각도로 고민하고 정책을 보완해야 할 시점이죠.
  • 프로필 이미지
    구민#oRea
    정년70으로 올려야될듯해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70으로 올리면 20대부터의 일자리가 10년이 밀리는거라서요.
  • 프로필 이미지
    독수리#y4ZY
    정년 70이 적당한거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별#ud2E
    정책들이 퇴보하는 느낌이 드네요
  • 프로필 이미지
    릴리윤#EKaT
    오~~ 자세히 남겨주셔서 참고가 되었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샤인데이지#3zUw
    좋은 의견입니다. 60세 이상 근무는 주5일이 2일로 축소나 단계적 퇴직제 등등 고용이 유연한 구조가 되는게 좋다고 봅니다.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맞아요, 이 부분을 근데 당사자인 국회의원들이 고민하지는 않겠죠. 자기들이 60대니
  • 프로필 이미지
    뽀얀둥이
    좋은 방법인거 같아요. 고령 노동자는 젊은 사람과 같은업무나 직종을 바라지 말고 본인이 할 수 있는 곳에서 하면 될거 같네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저도 동의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ytP#B9Bo
    70년대에 비해 기대수명이 20년이나 늘었네요 와..우리도 5년 늘려서 65세를 기준으로 두면 좋겠네요
  • 프로필 이미지
    이혜화#p4wq
    여러가지로 신경쓸 문제인것 같습니다 단순히 숫자만 늘리는것이 아닌 문제로 보여요
  • 프로필 이미지
    에어컨
    기대수명이 늘어나다보니 사회적으로도 변화가 필요해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