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는 끝까지 가야한다.
https://spt.co.kr/news/cmhrr7c2k002q9leyjtaxwz2k
검찰이 갑작스럽게 항소를 포기하면서 내부 반발과 ‘윗선 개입’ 의혹이 커지는 중입니다
항소 포기 결정으로 추징금 환수 감소, 이재명 대통령 관련 재판 공소 유지에도 불리한 상황이되었고
법무부견이 영향을 미쳤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과 개혁 신뢰가 흔들리고 있는상황.
(봉지욱 기자가 정리한 대장동 1심 판결)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는 단순히 사건이 끝난 게 아니라, 한국 검찰 조직의 고질적인 문제가 적나라하게 드러난 결정적 순간아닌가 싶어요 권력 앞에서는 조용히 몸을 낮추다가, 정권이 바뀌면 갑자기 공격적으로 변하는 검찰의 모습이 계속 반복되는 것도 국민의 불신을 키우고 있습니다.
1심 재판부는 이미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이 직접 지시했다는 정황이 없다고 분명히 밝혔고, 추징금 역시 대폭 줄어들었습니다ㅎㅎㅎ
결국 검찰의 공소 논리가 처음부터 허술했다는 점을 법원이 확인해 준 셈이라 볼수잇을거같네요
그런 만큼 검찰이 정말 자신 있다면 항소를 통해 논거를 더 치열하게 입증했어야맞죠 그런데 검찰은 오히려 도망치듯 항소를 포기했어요.ㅎㅎ 왜 그랬을까요? 항소를 이어갔다가는 수사 실패가 더 뚜렷하게 드러날 것이라는 두려움이 있었던 것 아닌지....
검찰 내부의 반발도 한편으로는 어이없게 느껴집니다. 조직의 명예를 위한 정의로운 행동이라고 주장하지만, 국민이 보기에 그 모습은 ‘정권 때문에 우리가 실패했다’는 식으로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으로 비춰집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시절 내란죄 논란과 같이 큰 사건 앞에서는 이런 집단 반발이나 ‘정의’ 외침이 한 번도 없었다는 점도 아이러니하죠. 자신들에게 유리할 때는 침묵하다가, 분위기가 바뀌면 갑자기 정의를 내세운다는 점이 오늘날 검찰이 불신받는 핵심 이유로보이고요
사실 이 사건의 뿌리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문재인 정부 시절까지 이어집니다. 그때도 검찰은 유동규 중심의 부패 구조보다, 정치적 타격에 초점을 맞췄다는 의심이 있었죠. 당시 당내 경쟁 구도와도 얽혀 검찰이 정치적 도구로 이용됐다는 흔적이잇다보거든요?
더 근본적인 문제는 대장동 사건의 본질 자체가 이미 흐려졌다는 점입니다. 성남시의 이익이 민간으로 과도하게 흘러간 구조적 부패, 이를 바로잡는 일이 진짜 목적이어야 했는데 검찰은 사건을 국민 재산을 지키는 일로 보지 않고, 유력 정치인을 공격하는 수단으로만 삼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국민의 알 권리도, 국고 환수도 모두 뒷전으로 밀렸죠
이제 진짜 필요한 건, 검찰이 자기 자신을 정직하게 돌아보고 고통스럽지만 꼭 해야 할 개혁에 나서는 일입니다. 권한을 분산하고, 정치적 영향에서 벗어나며, 수사 실패에 대한 책임도 분명하게 해야 국민의 신뢰를 되찾을 수 있습니다. 그래야만 검찰이 권력의 기류에 흔들리는 조직이 아니라, 다시 한 번 법과 정의를 지키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이 시점에서 검찰이 국민에게 진심으로 하고 싶다면, 이렇게 말해야 하지 않을까요?
“저희는 다시는 권력에 휘둘리지 않겠습니다.
진정으로 국민을 위해 존재하겠습니다.”
이 말이 진심이라면, 이제 그 약속을 행동으로 보여줄 때아닌가싶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