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지사님의 역량이면 좋은 방향으로 사업을 잘 추진할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도정에 우선순위라는 것도 있으니깐요.
https://spt.co.kr/news/cmhokwh0u000e146touxv626n
오늘 뉴스를 보니 경기도의 AI 정책이 또 도마에 올랐습니다. 전석훈 경기도의원이 “이재명 대통령이 AI를 국가 핵심산업으로 지정하고 10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했는데, 정작 경기도는 예산을 줄이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했더군요. 대통령이 GPU 26만 개 투입을 약속할 정도로 전국적으로 AI 투자 열기가 뜨거운데, 정작 경기도의 ‘AI국’은 사업 구조를 운영형으로 바꾸며 축소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그는 경기도가 추진하던 ‘인공지능원’ 설립이 1년째 표류 중이라는 점을 문제의 핵심으로 꼽았습니다. 부서마다 따로 AI 사업을 진행하면서 방향이 제각각이고, 이걸 총괄할 컨트롤타워가 없다 보니 실질적인 성과가 없다는 말이죠. 쉽게 말하면, 추진력은 분산되고 속도는 떨어지고 있다는 겁니다.
전 의원의 발언 중 인상 깊었던 부분은 “20년 전 판교가 기업하기 좋은 도시였다면, 이제는 AI 주권을 확보하는 경기도가 돼야 한다”는 대목이었습니다. 과거엔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혁신 생태계를 만들었다면, 지금은 AI 인재·기술·투자를 중심으로 새로운 산업판을 만들어야 한다는 뜻으로 들립니다. AI는 단순히 한 부서의 업무가 아니라 미래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영역이니까요.
그는 또 “AI국은 예산 나누는 부서가 아니라 전략본부가 돼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 말엔 경기도 행정의 ‘형식적 대응’에 대한 비판이 깔려 있습니다. 사업 구조가 바뀌었다고 해서 예산을 줄이는 건, 지금 시점에서는 시대 흐름을 거꾸로 가는 결정이라는 지적입니다. AI는 속도전이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게 아니죠. 기술 주도권 경쟁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치열합니다.
결국 이번 논란의 본질은 **‘경기도의 AI 방향성 부재’**에 있습니다. 중앙정부가 속도를 내는 사이, 지방정부가 준비 없이 늦춰지고 있다면 지역 격차는 더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AI는 산업과 행정, 교육, 도시계획까지 연결되는 종합 과제입니다. 인공지능원 설립이 단순한 기관 하나의 문제가 아니라, 경기도가 미래 산업의 중심으로 남을 수 있느냐의 시험대가 된 이유입니다.
전석훈 의원의 말처럼, 지금이 골든타임일지도 모릅니다. 정책의 방향이 바뀌는 시기일수록 ‘언제 하느냐’보다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하겠죠. 경기도가 더 이상 회의만 반복하는 행정으머무르지 않고, 실제적인 실행과 투자로 나아가길 기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