걀론은 실효성이네요. 예산의 3가지. 목적성,실효성,감사효율성 목적이 분명해야하고 효과적인 성과를 발현해야하고 그 과정에서 감사를 통해 책임성을 부여해야 되죠. 윤정부의 무책임하고 무능하고 비리가 난무했던 예산안정책 이후 이재명정부는 똥을 치워야하는 반면 반면교사 삼아 정상화시키는 것에 중점둬야 할 판 아무쪼록 잔재해 있는 내란세력이 방해하겠지만 남은 4년7개월의 초석이 되길
https://spt.co.kr/news/cmhj6klxb001d9wvosyoxbyrh
최근에 이재명 정부가 내년도 예산안으로 728조 원이라는 역대급 규모를 내놨습니다.
뉴스를 보니 이제 여야가 예산 심사에 본격적으로 들어가는 시기라는 게 실감 나네요.
민주당은 AI, 반도체, R&D, 국민성장펀드, 지역사랑 상품권, 농어촌 기본소득 등 여러 가지 사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밝혔고,
국민의힘 쪽은 이런 예산 항목들 대부분을 ‘선심성 지출’이라 비판하며 삭감을 예고하고 있죠.
만약 정부 원안대로 예산이 통과되면 정말 사상 최대 수준이 될 텐데요.
하지만 여야 입장 차가 워낙 커서 논의가 오래 걸릴 수 있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저는 예산의 규모나 확장 정책 자체보다 더 중요한 건 결국 ‘실효성 있는 지출’과 ‘책임 있는 예산 관리’라고 봐요.
물론 미래 산업에 투자하는 게 중요하긴 하지만,
어디에, 왜, 얼마를 썼는지 명확하지 않다면 쉽게 정치적 목적으로 예산이 집행되거나 선심성 지출로 변질될 수 있거든요. 이미 국가 부채도 몇번의 선심성 지출로 인해 최대 규모가 되었죠.
예산은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모든 사업은 분명한 목표와 실질적인 성과 지표를 갖고 집행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표적으로 지역사랑 상품권이나 농어촌 기본소득처럼 지원 성격이 강한 예산도
단기간 효과에만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체계를 보완해 나가는 게 더 중요해요.
만약 이런 예산들이 일회성 현금 지원에서 그치면 실질적으로 체감되는 효과는 물론 국민의 신뢰도도 떨어질 수밖에 없을거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저는 투명한 집행, 객관적인 성과 측정, 그리고 사회적 필요를 반영한 우선순위 설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확장재정은 경제 성장과 서민 지원 모두에 필요한 수단이지만,
무작정 규모나 속도만 앞세운다면 오히려 논란과 갈등만 커질 수도 있다는 점,
정말 놓치면 안 될 것 같아요.
정치적 이해관계보다 실질적인 정책 효과가 먼저 고려돼야 하고 국민이 실제로 변화를 느낄 수 있는 방향으로 예산이 쓰여야 진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중요한 건 예산의 ‘숫자’가 아니라,
국민과 사회 전체가 실감하는 ‘효과’라는 점이에요. 그동안 역대 정부에서 선심성 예산과 자기편 몰아주기로 인해 소중한 세금이 특정 개인의 주무니를 채우는데 쓰이는 모습을 보았었죠.
확장재정이 제대로 된 방향으로 쓰이려면
필요 없는 정치적 논쟁이나 선심성 지출에 빠지지 않고,
국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바꿀 수 있도록 꼼꼼하고 책임 있게 관리돼야겠죠.
민주당 그리고 이재명 정부의 맹목적인 균형과 복지 보다는 실질적인 균형과 복지를 위한 예산 집행을 기대해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