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리커크 추모글이 정치적으로 악용되는..

https://spt.co.kr/news/cmfm750vx004a111xrneu2thl

 

찰리커크가 강연도중 총격으로 사망했다는 기사입니다

 

솔직히 누군가가 죽었을때 추모나 애도하는건 본인의 자유 아닌가요

굳이 살아생전 어떤 단체를 지지하거나 응원했다해도 그걸 추모 애도와 연관 짓는건 안될거 같아요 많은 연예인들이 추모를 했는데 이걸 정치적으로 해석하는건 반대입니다

0
0
댓글 11
  • 프로필 이미지
    채규일#t1JH
    그의 평소 발언에 대해서도 고민해봐야되지않을까요?
    그런 식으로 따지면 히틀러의 죽음에 대해 애도하는 사람들도 슬픔을 정치적으로 해석하지말라고 할수있는거 아닌가요...
  • 프로필 이미지
    TigerJK
    정치적 해석 논란은 정말 아쉬워요. 추모와 정치 성향은 별개라고 생각해요.
    
  • 프로필 이미지
    고구마피자맛있어
    죽은 사람에 대한 애도를  할 수는 있어요 하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다면 굳이 공개적으로 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요
  • 프로필 이미지
    큰영#rPwx
    죽은사람이 살아생전 어떤 활동을 했건 추모 애도와 연관짓는건 안타까운것 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한수지#caBc
    뭔가 연관짓는다는게 좀 그렇네요 논란이 너무 억지로 만든 것 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청년피자
    이걸 정치적으로 해석 되는 게 안타깝네요
  • 프로필 이미지
    엘리야프라이스
    정치적으로 해석하는게 너무 안타까워요 앞으로는 추모 자체가 논란이 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 프로필 이미지
    OaSIS
    말씀처럼 애도는 인간적인 감정 표현이지만, 영향력이 큰 인물이 공개적으로 글을 올릴 때는 사회적 맥락과 파급력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죠.
    
  • 프로필 이미지
    #given
    찰리 커크처럼 정치적으로 논란이 있는 인물에 대한 추모는 의도와 상관없이 정치적 해석을 낳을 수 있어, 공인의 신중함이 요구되는 사례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minimoni
    개인의 슬픔을 표현할 권리는 있지만, 공개적 플랫폼에서는 그로 인해 생길 논란과 오해도 감안해야 해요.
    
  • 프로필 이미지
    minimoni
    관세로 인한 피해는 결국 시장 신호를 왜곡하고, 기업의 효율적 자원 배분을 방해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