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규일#t1JH
보유세 도입으로 인해 책임감 없는 견주가 반려견 쉽게 못 키우게 하는 효과가 있을듯합니다. 방송에서 유명해진 견종을 무덕대고 돈주고 분양받았다가 싫증나면 유기해버리는 분들도 많습니다. 시골에서 반려견 키우시는 어르신들의 대부분이 도시사는 자식들이 맡기고 간 케이스가 많습니다...
1회적 등록세의 개념으로 남부하는건 괜찮다고 생각해요.
어차피 이래저래 사회적 비용이 들어가는건 사실이니까요.
강아지나 고양이를 무료로 분양해도 책임비라는걸 받잖아요.
보유세 도입으로 인해 책임감 없는 견주가 반려견 쉽게 못 키우게 하는 효과가 있을듯합니다. 방송에서 유명해진 견종을 무덕대고 돈주고 분양받았다가 싫증나면 유기해버리는 분들도 많습니다. 시골에서 반려견 키우시는 어르신들의 대부분이 도시사는 자식들이 맡기고 간 케이스가 많습니다...
정말 보유세 도입이 된다면 동물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보유세의 효과로 동물을 키우는것에 대해 신중해지지않을까 생각합니다.
당연하겠죠. 세금이 발생되는 곳에 쓰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동물들과 환경을 위해서 온전히 사용한다면 괜찮을것 같기도하네요.
그렇죠. 반려동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에 투입되는건 당연하다고 생각해요.
님 말씀처럼 1회적 등록세의 개념으로내는 거라면 나쁘지 않지만 사실 세금이라는 건 해마다 내야되는 것이니 경제적 부담이 될 것도 같아요. 하지만 어리고 이쁠 때는 키우다가 병들고 늙었다는 이유만으로 갖다 버리는 사람들을 생각하면 어떤 식으로든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정책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맞아요 오히려 계속 세금을 내라고 하면 오히려 유기견이 늘어날 수도 있겠죠.
등록의 개념이라면 찬성해요 저도 큰돈을 들일 자신이 있는 사람만분양받아라 가벼운 마음으로 분양맏을사람을 걸러내는건요
맞아요 책임비받듯이 책임감을 가지고 분양받는게 맞는거 같아요.
책임감을 가지고 키울수 있을것 같아요
그정도의 책임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책임비 같은 개념인가보네요 실효성은 있을지
그정도의 책임감은 있어야 애완동물을 키울 자격이 될거 같아요.
1회성 등록세 개념인거군요
맞습니다..계속적인 세금부과는 오히려 유기동물을 발생 시킬 수 있으니까요.
등록세 개념이라면 괜찮은거 같네요 그러려면 입양자체를 나라에서 관리해서 데려갈때 내게하는게 어떨까싶군요
사회갈등도 있고 인식도 그렇고해결도없이 세금부터 걷는건 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