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회 할말이슈] 아시아권에서는 최고 수준, 최저임금의 딜레마

 

 

한국의 최저임금 수준은 중위임금 대비 62.2% 수준으로, 이는 미국(28.0%), 일본(46.2%), 독일(54.2%)보다 훨씬 높다. OECD 국가 중 상위 8위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아시아에서는 그래도 최저임금으로는 최고 수준이다.

 

긍정적 효과: 내수 활성화와 불평등 완화

최저임금 인상은 저소득층의 구매력을 높여 내수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한국의 경우 최저임금 영향률이 13.7%(약 301만 명)로 상당히 높아 이러한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부정적 효과: 고용 감소와 영세기업 부담

반면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은 고용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영세 자영업자들에게는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한국의 최저임금 미만율이 다른 OECD 국가들보다 높은 것도 이러한 부작용을 보여주는 지표다.

 


1. 점진적이고 예측 가능한 인상 시스템

한국은 과거 급격한 인상으로 인한 부작용을 경험했다. 이제는 경제 여건을 고려한 점진적이고 예측 가능한 인상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독일처럼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기업들이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물가상승률 연동 메커니즘 도입 검토

현재처럼 물가상승률보다 낮은 인상률이 지속되면 최저임금의 실질 가치가 지속적으로 하락할 수 있다. 물가상승률과 연동하는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3. 업종별·지역별 차등 적용 검토

일본처럼 지역별 경제 여건을 고려한 차등 적용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서울과 지방,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의 생산성 격차를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

 

4. 중소기업 지원 정책과의 연계

최저임금 인상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세제 혜택, 사회보험료 지원 등의 정책을 함께 추진해야 한다.

0
0
댓글 14
  • 프로필 이미지
    김제영#OsSs
    내년 최저임금 협의를 통해 순조롭게 조정되길 바랍니다.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1만원은 우선 넘었네요.
  • 프로필 이미지
    happyday
    정성가득글 잘 봤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감사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채규일#t1JH
    다 이해하지만 업종별, 지역별 차등 적용 검토은 아닌거같습니다.
    최저시급은 법에서 정한 그야말로 인간답게 살아가는 최소기준입니다.
    최저시급 하나 정하는 것도 이렇게 진통이 심한데 업종별, 지역별로 차등을 두면 정말 혼돈의 장이 될듯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이 의견도 맞는 말씀입니다. 상한선을 두는것도 좋은방법같기도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금두꺼비
    내년에도  최저임금이  이번 수준의 인상으로 잘 마무리 되었으면 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저도 동의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뽀얀둥이
    최저임금 영향률 꽤 높네요, 정책 방향 잘 잡아야 할 것 같아요. 중위임금 대비 비율이 생각보다 높게 느껴지네요.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중위임금이 진짜 국가평균이죠.
  • 프로필 이미지
    하룰랄라
    최저임금이 올라야 청년들이 알바로라도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어요
    
  • 프로필 이미지
    쥬쥬박스
    생활비가 오르면 저축은커녕 월세도 밀릴 수 있어요
    
  • 프로필 이미지
    햇살
    차등적용하면 그걸로 또 엄청 논란이 심할거 같긴해요
  • 프로필 이미지
    딜레마가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