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민에게 정보가 전달된다는 상징성은 있지만, 실제로 접촉 가능한 범위는 국경 인근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있고, 그 효과가 지속적인 변화를 유도한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기술 발달로 인터넷과 휴대용 매체를 통한 정보 유입이 더 효과적인 상황에서, 확성기 방송은 구시대적 방법이라는 비판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