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많은 변화가 필요해보입니다
최근 런던베이글뮤지엄 직원이 과로로 사망했다는 의혹을 접하고 마음이 무겁습니다. 이제는 ‘과로사’라는 단어가 낯설지 않을 정도로, 일터에서 사람이 죽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는 사실이 참담합니다. 특히 이번 사건의 피해자가 20대의 젊은 청년이라는 점은 우리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더 명확히 드러냅니다.
저는 이번 사건을 단순히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가 만들어낸 ‘열정 노동 문화’의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인기 있는 브랜드, 트렌디한 직장이라는 이미지 뒤에는 “성장”과 “성과”라는 단어에 짓눌린 현실이 존재합니다. “좋은 기회니까 조금만 더 버티자”, “이 시기만 지나면 나아지겠지” 하는 생각 속에서 많은 청년들이 자신의 건강과 시간을 스스로 희생합니다.
런던베이글뮤지엄은 전국적으로 줄 서서 먹는 핫플레이스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그 화려한 인기 뒤에 누군가는 밤낮으로 반죽을 하고, 매장 오픈 준비를 하며, 하루에 10시간이 넘는 노동을 버텼을지도 모릅니다. 브랜드의 성공이 직원의 희생 위에 세워졌다는 생각이 든다면, 그것은 결코 자랑스러운 일이 아닙니다.
기업은 책임을 져야 합니다. 단순히 사과문 몇 줄로 끝낼 문제가 아닙니다. “누가, 왜, 어떤 구조에서 그렇게 일하게 되었는가”를 투명하게 밝혀야 합니다. 근로시간, 휴게시간, 인력 배치, 내부 보고 체계가 어떻게 운영되어 왔는지 공개하고 개선해야 합니다. 책임 있는 기업이라면 직원 한 명의 죽음을 ‘불운한 사고’로 치부하지 말고,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제도와 문화를 바꿔야 합니다.
또한 이번 일을 계기로 우리 소비자들도 변화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줄을 서며 즐기는 그 ‘핫플레이스’가 과연 어떤 노동의 대가로 만들어졌는지를 돌아봐야 합니다. 기업의 맛과 이미지뿐 아니라 ‘사람을 존중하는 운영’을 기준으로 브랜드를 평가하는 소비 문화가 자리 잡을 때, 진짜 변화가 시작될 것입니다.
이 사건은 한 사람의 죽음으로 끝나서는 안 됩니다.
청년이 일하다 죽는 사회는 건강한 사회가 아닙니다.
열정과 희생이 혼동되는 구조 속에서 더 이상 아무도 희생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좋은 브랜드”는 결국 사람이 행복하게 일할 수 있는 브랜드여야 합니다.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비극은 우리 모두에게 던지는 질문입니다 —
“우리는 지금, 사람을 위해 일하고 있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