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이슈에 논하기 전에 리박스쿨이 무엇인지 먼저 알아보자.리박스쿨(대표 손효숙)은 이승만·박정희 스쿨의 약자로 이승만 건국대통령의 근대화와 자유정신, 한강의 기적을 만든 박정희 부국대통령의 산업화를 연구하는 아카데미 단체이다.
그들의 슬로건은 바로 아래와 같다. 리박은 이승만과 박정희의 성에서 따온 것이다.
"자유를 지키고 싶다면 이승만과 박정희를 배우라"
(출처: 나무위키)
리박스쿨 사건은 단순한 댓글 조작을 넘어 초등교육 현장에까지 극우 이데올로기가 침투한 심각한 사안이다. 이 사건은 한국 교육시스템의 근본적 취약점과 정치적 중립성 훼손 문제를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들이 주입하려 한 내용은 이승만을 "한국의 모세"로 미화하고, 5.18 민주화운동을 왜곡하는 등 역사적 사실을 정치적 편견으로 재해석한 것들이었다. 초등학생이라는 판단력이 미성숙한 대상에게 이런 편향된 역사관을 주입하려 한 것은 교육의 본질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다.
이번 사건은 늘봄학교 강사 채용 과정의 심각한 허점을 드러냈다. 리박스쿨은 자신들이 설립한 '한국늘봄연합회' 명의로 서울교대와 업무협약을 맺고 10개 초등학교에 강사를 공급했다. 이 과정에서 강사들의 자격과 교육 내용에 대한 제대로 된 심사나 검증이 이뤄지지 않았다. 더욱 심각한 것은 댓글 공작에 참여한 인물들이 '민간 자격증'이라는 허울 좋은 포장으로 교육 현장에 침투했다는 점이다. 이는 늘봄학교 시스템이 외부 세력의 침투에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교육부의 전국 실태조사는 당연한 조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리박스쿨과 연계된 모든 강사들의 교육 내용과 활동을 전면 재검토하고, 피해를 입은 학생들에 대한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
리박스쿨 사건은 우리 교육시스템이 얼마나 정치적 침투에 취약한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 이 사건을 단순히 한 단체의 일탈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 이는 우리 사회의 구조적 문제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은 민주주의의 기본 전제다. 어떤 정치적 성향의 단체든 교육을 자신들의 이데올로기 전파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시도는 강력히 차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개별 사건에 대한 대응을 넘어 시스템 전체의 개혁이 필요하다.
특히 초등교육은 아이들의 인격과 가치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다. 이 시기에 편향된 교육을 받은 아이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우리 사회가 치러야 할 비용은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교육의 공공성과 중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개혁이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 이는 정치적 성향을 떠나 모든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과제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