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쉬웠지만 내년을 기대하게 만든 김천 김밥축제

아쉬웠지만 내년을 기대하게 만든 김천 김밥축제

지난 26~27일 열린 김천 김밥축제가 김밥없는 김밥축제로 논란이 되었습니다.

김천시가 예상한 방문객 2만명의 5배인 10만명의 방문객이 몰리면서 준비한 1만6천인분의 김밥이

3시간만에 동이 나면서 떡볶이만 먹고 왔다는 후기가 이어졌습니다.

 

충무김밥으로 유명한 통영도 김밥을 주제로 한 축제를 하지 않았는데, 김밥과 아무런 연고가 없는 

김천이 김밥축제를 연 이유는 단 하나였습니다.

인구 13만5천명의 김천은 2019년 말부터 노령인구가 전체 인구의 22%를 넘는 초고령사회, 

지역소멸 지역이 되었는데, 이 위기를 타계하기 위해 2030세대에게 설문조사를 하였습니다.

이 설문에서 김천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김밥천국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고 하네요.

김천의 특산물인 자두, 포도가 아닌 김밥을 걸고 축제를 열었는데 뜻밖의 호응을 얻게 되었습니다.

김천시는 특산물을 주제로 한 축제는 식상하다고 생각했고 최근 떡볶이,만두 등 자주 접하는

주제로 한 축제가 성공한 것을 보고 김밥축제를 기획했다고 합니다.

아쉬웠지만 내년을 기대하게 만든 김천 김밥축제

 

김천 김밥축제는 부정적인 논란과 함께 긍정적인 면도 볼 수 있었습니다.

일회용기가 아닌 뻥튀기에 김밥을 담아 친환경축제에 일조했고, 유명가수가 아닌 

김밥을 부른 가수 자두만 초청하여 1억5천만원이라는 저예산으로 축제를 치렀습니다.

김천시는 축제컨텐츠를 다양화하기 위해 경연대회로 김밥을 선별하고, 대기업과의 협업,

전국 유명김밥집을 초청하는 등 여러 기획안을 준비한다고 합니다.

 

아쉬웠지만 내년을 기대하게 만든 김천 김밥축제

올해 지자체 축제 중 기후변화로 취소되거나 대체된 축제입니다.

얼음과 꽃이 없고, 송이축제는 호두 채취로 대체되기도 했습니다.

지난 봄에 열린 진해군항제에서 꼬치어묵 1만원, 바베큐 4만원, 최근 열린 광주김치축제에서 

홍어삼합에 홍어가 없고, 1만원짜리 두부김치에 고기가 6점 등 바가지 논란이 있었습니다. 

조기 품절, 바가지 논란속에서도 지자체들이 축제를 하는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것인데요.

10만명의 인파가 하루만 몰려도 50억원의 경제 효과가 발생하고, 축제가 성공하면

투입 예산의 최대 20배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축제 예산에 중앙정부에서 일정부분 국비 보조금을 주기도 하여, 2022년 944건이였던 지역축제가

2024년말까지 계획된 축제를 포함하면 1170건으로 24% 늘었다고 합니다.

 

김천 김밥축제에 이어 구미 라면축제도 많은 방문객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두 축제는 단순한 지역축제를 넘어 지역 특성에 맞는 독창적인 주제와 컨텐츠로 

전국에서 주목받는 성공적인 축제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지역소멸을 타계하기 위해 많은 지자체들이 수많은 세금과 정책으로 노력하는 가운데

우리 삶의 작은 활력소가 된 독특한 축제가 더 많아지고 성공하기를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