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형태가 얼마나 다양한데..

국가유산청이 정한 '전통' 한복의 기준은 구한말인데 이 시기의 한복이 아니면 안 된다는 게 어처구니가 없죠...

삼국시대부터 고려, 조선 전기에 이르기까지 한복도 계속해서 변화를 거쳐왔는데 구한말 이전의 한복은 전통 한복이 아닌 건가요?

정작 경복궁 내 수문장 복식과 고궁 내 행사들은 조선 전기 시점으로 잡아놓고 경복궁 내에서 조선 전기 한복을 입으면 한복이 아니란 말을 듣게 되는 상황이 펼쳐지는 게 말이 되는지요.

정작 한복을 만드는 사람들과 한복에 대해 애정이 많아 사모으는 사람들은 퓨전 한복에 대해 이렇게라도 한복을 알릴 수 있다면 좋다는 입장인데 국가유산청과 경복궁은 한복이 사장되는 미래를 바라는 건지 의아하기만 합니다.

0
0
댓글 5
  • 프로필 이미지
    진쿄
    시대에 따라서 젋은세대들도 관심을 갖는 디자인과 색으로 한복 전통의상의 관심을 가지게 되는게 오히려 퓨전한복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요
  • 프로필 이미지
    코카콜라#cPdT
    전통한복으로 우리 한복의 다양성을 국한시키는 것 같아요
    전통 지키는거 중요하죠
    근데 전통만 지키려다 다른걸 잃진않았음 하네요~
  • 프로필 이미지
    무지개해안도로
    다 장단점이 있어보이긴 하네요
    저는 찬성하는 쪽인데!!!!
  • 프로필 이미지
    포도하늘
    다양한 한복형태를 무시하는 결정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번 일은 반대하는것이 맞죠...
  • 프로필 이미지
    Kanm#af5W
    이런 일방적인 단속만으로는지켜내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