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상향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가개요

서울시의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상향 추진 소식은 재정적 문제와 고령화 시대의 변화된 노인상 등을 이유로 하고 있지만, 
그로 인해 실제 어려움을 겪게 될 노인들의 입장은 충분히 고려되고 있는지 의문이 듭니다. 
특히 기사에서 무임승차가 단순한 '혜택'이 아니라 생계와 직결되는 교통비 부담 경감 수단인 경우, 
정책 변경은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노인 기준 연령이 사회적 인식에 따라 달라지고 있는 건 사실입니다.
 65세는 더 이상 ‘노인’으로 보기 어렵다는 인식이 퍼져 있는 것도 맞고요. 
하지만 여전히 많은 어르신들이 경제적 어려움 속에 살아가고 있고, 특히 70세 이상이 되면 일자리 구하기조차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런 현실에서 무임승차 혜택까지 줄어든다면, 오히려 사회의 가장 약한 부분에 부담을 전가하는 셈이 될 수 있습니다.

노인에 대한 지원은 단순한 복지 차원을 넘어, 인간다운 삶을 위한 기본권 보장의 의미도 있습니다.
 특히 이동권은 노년의 사회적 고립을 막고 자존감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죠. 
만약 제도 변경이 꼭 필요하다면, 방안은 일률적인 축소가 아니라, 소득 수준에 따른 차등 지원이나 비혼잡 시간대 할인제도 같은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무임승차 혜택을 단지 ‘재정 부담’으로만 바라보지 않고, 이를 통해 사회 전체가 노인을 어떻게 대우하느냐를 보여주는 지표로 본다면, 더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복지는 단기 수익을 따지는 문제보다, 우리가 어떤 사회를 만들고 싶은가에 대한 방향성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3
0
댓글 17
  • 프로필 이미지
    Odf#VvlK
    맞습니다. 우리 모두가 노인이 될텐데 말이죠
  • 프로필 이미지
    소율파파
    공감함니닷!!
  • 프로필 이미지
    정원진#hjzL
    단순히 주냐 안주냐가 아닌 섬세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며 제발 표생각말고 고민해주면 좋겠어요 
  • 프로필 이미지
    모나미청하
    연령을 조정하는 것도 필요하고, 단순히 무임승차도 문제가 있다 보이네요. 최소한의 요금이라도 부담하는게 맞다 보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김정오#UUxB
    저는 이제 75세로 올려야한다고 봐요 평균연령과 기대수명이 늘어났잖아요
  • 프로필 이미지
    성장하는가치
    우리도 노인이 될거고, 노령화시대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구민#oRea
    지하철 적자라면서 왜저러는건지요
  • 프로필 이미지
    독수리#y4ZY
    무임승차대신 할인이 나을거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별#ud2E
    세심한 차등지급이 좋을거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fofoww11
    음 이 글을 보니 또 님의 생각에 공감이 가네요. 최소한의 기본권으로써 이동권 보장받는것도 정말 중요한일이긴하죠 제 짧은 생각을 반성하게되네요... 
  • 프로필 이미지
    뽀얀둥이
    노인들의 생존권과 연결하는건 너무 과도한거같네요. 그렇다면 세금을 내고 있는 젊은 직장인들은 등골이 휘고 집을 살 엄두도 못내는데 말이죠.
  • 프로필 이미지
    왕짱구#MPwE
    일괄적인 정책보다 차등지급 논의해야할것 같아요. 진짜 노인인구가 계속 늘고 있잖아요
  • 프로필 이미지
    땡땡#UBEG
    본문을 읽어보니 확샤히 소외되는 약자층에 대한 배려가 있긴해야할듯 합니다 연령상향 보다는 재산과 소득으로 무임승차 혜택을 따로 주는게 가장 나을것같네요
  • 프로필 이미지
    정지#oqDe
    앞으로 방향성에 중요한 척도가 되겠네요
  • 프로필 이미지
    qoo9706
    시대에 따른 변화는 필수지만너무 급진적인건 불안하네요
  • 프로필 이미지
    혀니닝
    많은 어르신들이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해있어서 무임승차 필요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에어컨
    재정적 부담이 있으니 전 폐지보다는 제한적 운영이 필요하다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