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세 고시 저는 반대합니다.

영유아 아이들은  우선  인격향상을  위해서  선한 마음부터  먼저 배우며,  남을 배려하는 마음부터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선행되지 않으면,  그 아이가  아무리 똑똑한들  인격이 좋지 않은 성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나머지  공부를 못하거나,  선행학습을  하지 못한  아이들은  본인들이  패배자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0
0
댓글 15
  • 프로필 이미지
    강민정#sHCg
    저 또한 공부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인격 형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꿈과희망을드려요
    부모가 동의하면문제는 없어보이는데요
  • 프로필 이미지
    동도로로로#YVmc
    저는 인격은 날때부터 가지고 나오는거라고 생각해요 공부를 잘하는 아이가 이기적이라는건 고정관념이고 그런 아이도 있고 아닌 아이도 있어요  인성은
    거의 태어나면서 나오는거고 교육으로 잘 못고칩니다
    • 프로필 이미지
      동도로로로#YVmc
      인격이 완성되서 태어닌디는뜻ㅇ
      ㄴ 아니에요 하지만 기본적인 틀은 날때부터 어느 정도 이기적인 성향 관대한 성향거의 태어나면서
      그런 성향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 프로필 이미지
    박영숙#aMXi
    인격이 무조건적인 1순위가 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지후니#1eYt
    공부에만 포커스가  맞춰지는  사회가  문제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햇살좋은날
    7세 고시 저 역시도
    반대하는 바 입니다 ㅠㅠ 
  • 프로필 이미지
    시원해져라
    어린 나이에는 여러 가지 경험을 쌓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아이가 원하는 걸 배우게 해주는 게 좋네요
  • 프로필 이미지
    에스프레소
    7세 고시는 아이 인성보다 조기 경쟁을 강요하는 듯해요. 아이들 놀 권리와 마음 성장도 중요해 보여요.
    
  • 프로필 이미지
    미어켓
    저도 반대해요. 선행도 예습 수준에까지만 찬성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versache
    저두요 혼자 두면 방임이라는 말은 부모가 책임을 덜려는 핑계가 될 수 있어요.
    
  • 프로필 이미지
    gadzooks
    돌봄은 학원이 대신할 수 없다는 걸 부모가 알아야 해요.
    
  • 프로필 이미지
    #given
    상위권이 아니면 실패라는 사회의 신화는 부모가 스스로 깨부수지 않으면 아이들에게는 끝없는 경쟁만 남겨지게 돼요.
    
  • 프로필 이미지
    몽구야
    공부만 시키면 뭐하나요
  • 프로필 이미지
    여닝입니다
    유아기때에는 인격형성이 먼저인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