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혼자 두는 건 방임이라면서

부모가 일하는 구조와 돌봄 제도의 부재는 분명 문제지만, ‘그래도 내 선택은 불가피했다’는 식으로 쉴드를 치는 건 설득력이 약해 보여요.게ㅔ다가 아이를 혼자 두는 건 방임이라면서 학원으로 채우는 건 과연 최선이었을까요.안나 카레니나 서사를 인용해 사회 구조만 비판하면서, 구체적으로 바꿔야 할 제도나 해법은 별로 안 보이네요.그냥 ‘사회가 바뀌어야 한다’고만 하면 바뀌나요? 구체적인 대안 없이 구조 탓만 하면 현실은 변하지 않죠.

1
0
댓글 31
  • 프로필 이미지
    함무라비
    본인이 바꿔야 한다는 의지. 있어야 한다는거 공감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아이의 놀이 시간은 부모의 불안보다 훨씬 소중해요.
      
  • 프로필 이미지
    토끼님#xWWo
    구조적인 문제를 개인이 해결하기에는 무리가 있죠 본인의 의지도 중요하고 구조 문제도 중요해요 7세 고시 너무 마음아프네요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상위권 신화를 끝내려면 부모가 먼저 멈춰야 한다는 걸 잊지 말아야 해요.
      
  • 프로필 이미지
    나는엄마다
    현실은 변하지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
    7세고시라는 단어조차 마음이 아픕니다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ㅍ퓨ㅠㅠㅠ사교육에 돈을 쏟아붓는 이유는 결국 사회가 제시하는 단 하나의 성공 공식에 압박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수진#FTim
    사실아이들이학원을다녀서 거기서 형성되는 사회도 무시할수없을거에요ㅠㅠ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학원과 시험만 가득한 시간표를 강요하는 것은 부모 자신의 불안을 아이에게 전가하는 행위아닐까요??????
  • 프로필 이미지
    수진#FTim
    스스로배우고싶은것을 선택해서 배울수있도록 키우고싶네요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부재를 학원이 대신한다는 착각은 결국 아이의 자유로운 성장권을 심각하게 침해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동도로로로#YVmc
    일반적인 이야기는 아니고 강남 대치동 한정된 지역에서 이야기에요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유치원과 학원에 아이를 보내는 진짜 이유는 영어 실력보다는 사회적 지위와 안정감을 확보하려는 마음에서 비롯됩니다.
      
  • 프로필 이미지
    hkh384
    맞아요. 현실이 너무하네여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아니면 실패라고 규정하는 사회적 인식은 아이와 부모 모두에게 극심한 스트레스와 고통을 유발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yorisu#CkrB
    늘 이게 맞나 되뇌이기만하면 변화가없긴한데 어디서부터 어떻게바꿔나가야할지도 감이 안 잡히긴 하네요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그니까요 경쟁을 멈추지 않으면 사교육 시장은 끊임없이 팽창하며, 아이의 행복은 점점 더 희생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옹동
    아이들을 돌봐주는 사회정책이 제법 있어요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프레임에 머무르면 부모들은 문제 해결에 필요한 실질적 행동을 회피하게 됩니다.
      
  • 프로필 이미지
    fofoww11
    무조건 사회 탓만 하고 끝나면 바뀌는 건 아무것도 없긴 하죠.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불안을 직시하고 변화에 나서야만 아이들에게 건강한 성장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시원해져라
    사회를 만드는 거는 결국에는 사회를 구성하는 구성원들이죠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그니까요!!단순한 관리가 아니라, 아이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 발달을 책임지는 중요한 과정이니 정부개입도 필ㅇ요해보여요
  • 프로필 이미지
    에스프레소
    아이 혼자 두는 문제는 부모 책임만이 아닌 것 같아요. 학원 돌봄도 한계가 보여서 대안이 필요해 보이네요.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정부는 부모와 아이가 경쟁의 굴레에서 벗어나 돌봄을 온전히 누릴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versache
    아이의 시간은 돈으로 대신할 수 없는 소중함이라는 걸 잊으면 안 돼요.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유치원 시험이라는 이름 아래 부모들이 치르는 경쟁은 사실상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장치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gadzooks
    아이가 학원에서 배우는 건 지식보다 경쟁이에요.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지나친 경쟁심은 아이가 스스로 선택하고 성장할 기회를 박탈하는 주된 원인입니다.
      
  • 삭제된 댓글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부모의 불안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더라도, 그것이 아이에게 반드시 이로운 것은 아니라생각해요 ㅎ
  • 프로필 이미지
    포프리덤
    사회구조적 문제 사회적 인식도 바꾸어야할 것 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given
      작성자
      동의해요 쉼과 놀이 시간은 학원 스케줄로만 채워져서는 결코 온전한 성장으로 이어질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