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는 오히려 마른 모델이 표준처럼 자리 잡아버렸죠.
솔직히 보고도 유달리 마른지 전혀 모르겠다 느끼고 저도 깜짝 놀랏어요
그래서 미성년자들 사이에 프로아나 문화가 번지는 것도 당연한 결과 같아요. 애초에 광고에서부터 건강한 기준을 제시했다면 상황은 달라졌을 텐데요. 한국의 광고 시장은 ‘팔리기만 하면 된다’는 태도에 머물러 있어요. 영국은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책임을 기업에 묻고 있다는 게 대단했어요. 거식증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유행병처럼 퍼질 수 있죠. 영국처럼 규제한다면 한국 청소년들의 왜곡된 미의식도 개선될 수 있다고 봐요. 건강한 사회로 가기 위해 필요한 제도라는 걸 절실히 느꼈어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