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원하는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식당이면 2000원이라도 더 주고 가서 먹을 것 같습니다.
대부분 1인용 메뉴로 판매하는 곳들은 10,000원 기준으로 점심값을 책정하는 데,
2인은 18,000원 부터 시작하는 곳이 많습니다. 그렇게 생각하면 전혀 차별도 아니고, 조금만
고려해서 생각해보면 당연히 돈을 더 받는게 맞다고 생각이 됩니다. 생각보다 기사를 면밀히 읽지 않고
차별이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놀랍습니다.
2인 기준 메뉴로 책정을 해두었고, 설거지(물세)+인건비+반찬 등 여러가지를 종합하면
상당히 납득이 가는 부분이라고 생각을 해요.
2인 이상 주문이 가능한 메뉴인데도 불구하고 손님들의 요청에 의해 그렇게 1000원을 더 올리고
1인분을 판매하게 된 것이면 당연히 납득이 가죠. 일부분만 보고 여기서 비난하시는 분들이 많아
안타깝네요. 장사란 하는 사람도 남아야 유지가 되는 것인데 말이죠.
다만 따로 문구를 붙이기보다는 1인분 10,000원, 2인기준 19000원 이런 식으로 가격폭을
다르게 해서 할인율을 높이면 좋을 것 같아요, 어딜 가나 흔히 보는 2개 사면 할인 하는 개념으로
음식에도 적용하면 크게 문제가 안 될 것 같네요.
유독 요식업이나 식당의 가격 인상에 예민하게 반응하시는 분들이 많아 안타깝습니다.
장사는 공짜로 땅파서 하는게 아닌데 말이죠. 게다가 식자재 원자재 상승폭만 생각해도
소비자 부담 전가가 없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기도 하구요.
기사 내 "반면 양지열 변호사는 "저는 저 식당에 찾아가고 싶다. 2인 이상만 주문받는 식당이 많아 혼자 가면 못 먹는 경우도 많다. 오히려 합리적일 수 있다"며 긍정적으로 봤다." 라는 변호사 의견에 저도 상당히 동의 합니다. 특히 닭도리탕이나 탕 종류는 2인 이상이 아니면 주문을 못하는데 저렇게 요리를 해서
내가 원하는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식당이면 2000원이라도 더 주고 가서 먹을 것 같습니다.
대부분 1인용 메뉴로 판매하는 곳들은 10,000원 기준으로 점심값을 책정하는 데,
2인은 18,000원 부터 시작하는 곳이 많습니다. 그렇게 생각하면 전혀 차별도 아니고, 조금만
고려해서 생각해보면 당연히 돈을 더 받는게 맞다고 생각이 됩니다. 생각보다 기사를 면밀히 읽지 않고
차별이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놀랍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