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견과 실수

사법 시스템엔 여전히 편견과 실수가 존재해요

 그걸 인정하지 않고 사형을 부활시키는 건 너무 무책임한 일 아닐까요?

잘못된 판결 하나가 한 사람의 목숨을 앗아간다면, 그 책임은 누구도 질 수 없어요. 그렇기 때문에 사형은 안됩니다....

0
0
댓글 17
  • 프로필 이미지
    숑숑이야#BMdw
    편견과 실수가 몇건이나 될까요 좀 더 신중한 판단을 동반해 저는 사형제 찬성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사형은 문제의 종결처럼 보일 수 있어요. 하지만 진짜 문제는 사회의 구조 안에 남아있어요.
  • 프로필 이미지
    Teresav4
    편견과 실수가 없게 신중하게 법집행을 하면 됩니다.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그걸 누가 판단하나요?인간이죠 실수가 없을까요???피해자 보호를 위해선 사형보다 더 다양한 제도 개선이 필요해요. 가해자의 죽음 하나로는 부족해요.
  • 프로필 이미지
    히히#ijR4
    현재 편견과 실수는 오히려 흉악범들에게 유리한 쪽으로 이루어진다 생각합니다 강력한 형벌제도가 필뇨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사형은 국가가 가하는 ‘합법적 폭력’이에요. 폭력으로 폭력을 통제하겠다는 생각은 위험해요.
  • 프로필 이미지
    반달진
    그렇기에 판사들이 판결을 내릴 때 더
    신중할 수 있는 면도 있을 것 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인간의 존엄은 그가 어떤 죄를 지었든 지켜져야 해요. 법이 그 원칙을 무너뜨리면 모두가 불안해져요.
  • 프로필 이미지
    무지개해안도로
    모가 편견이고 모가 실수인가요?!!
    그냥  벌에 맞는 죄값을 받아야죠
    제범도 우려도 있고 한사람 목숨인데
    사형제도 찬성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사형은 법적 안정성도 해칠 수 있어요. 감정 여론에 따라 형량이 바뀌는 건 정의의 위험한 균열이에요.
  • 프로필 이미지
    미어켓
    맞습니다. 돌이킬 수 없는 일은 하지 않는게 맞을거 같네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그쵸 ㅠ사형은 국가가 끝내 회복하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보내는 거예요. 그건 절망을 제도화하는 일이에요.
  • 삭제된 댓글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jamy
    범죄는 개인의 일탈이기도 하지만, 사회가 놓친 균열이기도 해요. 사형은 그 균열을 무시하게 만들어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범죄 예방은 형벌보다 사회 구조에서 시작돼요. 사형은 그 구조적 문제를 덮는 방식이에요.
  • 프로필 이미지
    jamy
    생명을 도구로 다루는 사회는 반드시 그 대가를 치르게 돼요. 사형은 그 시작이 될 수 있어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작성자
      맞습니다 ㅠㅠㅠㅠㅠ생명을 끊는 선택을 제도화하면, 사회는 점점 잔인해져요. 그 변화는 되돌리기 힘들어요.
      
  • 프로필 이미지
    햇살
    그럼 이미 목숨을 빼앗은 살인자는요 그 살인범들도 책임을 다 안하고있는데 사형집행으로 책임을 다 하게 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