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회 할말이슈] 도덕적 기준, 대중의 정서 중심

 

 

사실 최근 연예인 복귀, 자살 논란과 맞물리는 주제이기도 합니다.

범죄의 중함이나 마약 등 여러가지 맥락을 따져 볼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미국을 예로 들면 시장 논리에 따라 적용되는 만큼 그들은 사회적, 모범적

규범이 되어야 하는 공인이 아니고 그저 하나의 직업으로 바라봅니다. 

수많은 마약 논란, 범죄 논란이 있지만 그들이 처벌을 받고 또 다시 활동하고

세계적으로 성공하기도 하는 이유이죠. 이런 성공서사는 더더욱 큰 돈을 벌게 해줍니다.

 

물론 법적 처벌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습니다. 다만 관련 산업이나 대중이 재기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한국과 비교하여 좀 더 빈번합니다.

 

한국에서 연예인의 의미는 엔터테이너가 아닌 대중의 비판을 받는

도덕적 책임을 갖는 "공인"입니다. 그만큼 청소년과 기타 대중들에게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죠.

이 때문에 활동 중인 연예인이 문제가 되었을 경우, 지상파에서는 활동을 즉시 중단하게 됩니다.

다만 OTT의 특성상 그런 경향이 적고 비판을 피해갈 수 있기 때문에, 도덕적 해이와는 별개로

국내의 영향을 덜 받는 복귀 통로가 되고 있습니다.

 

일본, 중국의 경우는 한국보다 좀 더 엄격하고, 아예 복귀가 불가능한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이 또한 문화적, 대중의 정서 차이가 크기 때문에 옳다 그르다 할 문제는 아니라 생각합니다.

 

유럽의 경우는 법적 판단, 그리고 개인의 활동이 중요하기 때문에 법적인 처벌을 받고 나면

복귀에 대한 문제는 사실상 크게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다만 한국을 기준으로 볼 경우, 규제의 사각지대가 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기준을 정립해야 하는 시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0
0
댓글 14
  • 프로필 이미지
    강민정#sHCg
    OTT가 규제의 사각지대가 되어 있다는 점 공감합니다. 사이트 쪽에서도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여 범죄 논란 연예인들 복귀가 불가하도록 제재했으면 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Jess
      작성자
      범죄의 사안도 따져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 사회가 한 번의 실수도 용납하지 않는것에 기괴함을 느낍니다.
  • 프로필 이미지
    안진영#rpov
    규제의 사각지대가 있다는 점에 대해 공감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코히
    복귀 통로가 된다는 점에 대해서 많이 공감 해요
  • 프로필 이미지
    썬샤인#aEtw
    OTT가 허점이 많더라구요.. 이런점은 악용하다니 나빴어요
  • 프로필 이미지
    광개토태왕#1iGN
    연예인이라는 직업 자체가 남들에게 보여지는 직업인데 범죄는 정말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찡예뽀#ma2F
    수많은 시청자중에 미성년자들도 있고 충분히 따라할수도 있는범죄들도 있습니다.
    공인이라면 정말 신중하게 행동해야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레몬민트#2zeq
    너무 쉽게 생각하는것 같습니다. 연예인이라고 죄가 작은건 아닐텐데 말이죠
  • 프로필 이미지
    lunanagom#502o
    기준 정립이 정말..ㅠㅠ
    좀 필요해보입니다..ㅠㅠ
  • 프로필 이미지
    lastpang#al76
    저도 기준이..ㅠㅠ
    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ㅠㅠ
  • 프로필 이미지
    흑묘
    미국은 대신 한국보다 더 사생활도 없고 조롱당하고 악플당하고 그래도 고소한다거나 그런거 없죠 
  • 프로필 이미지
    ytP#B9Bo
    이런일은 또 일본 중국이 맞는것 같네요. 우리도 엄격하게 판단해야된다 봅니다...서양쪽은 범죄저지르면 처벌 수위도 높지않나요 우리나란 처벌도 약하니 복귀 못하게 하는 처벌이라도 했음싶네요.
  • 프로필 이미지
    브리또
    ott에서 이미지 회복하고다시 여기저기 나오려하겠죠
  • 프로필 이미지
    에스프레소
    다른 나라와 다르게 우리나라는 아직도 법적인 책임 보다는 도덕적인 책임에 무게를 두능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