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한 생존이 아니라 주거 안정, 안정적인 소득, 질 높은 복지 서비스까지 포함돼야 의미가 있죠

 난임 지원 확대도 중요하지만, 아이를 낳고 키우는 사회적 문화가 개선되지 않으면 효과는 제한적이에요. 육아휴직 제도가 있어도 실제로 쓰기 어려운 직장 문화, 돌봄을 전담하게 되는 여성의 부담 같은 현실이 병행해서 개선돼야 하죠. 고령사회 대응에서 노인 일자리와 여가시설 확충은 필수지만, 단기·저임금 일자리만 늘어나는 건 바람직하지 않아요. 노인들의 경험과 역량을 사회적으로 활용하는 구조적 설계가 필요하죠. 세대 간 교류와 연대가 살아있는 사회가 되면 고령화가 단순한 부담이 아니라 자산이 될 수 있어요.

0
0
댓글 11
  • 프로필 이미지
    토끼님#xWWo
    아동수당이 모든 대책이 되진 않겠죠 그래도 확대는 좋은 방향이라고 생각해요 힘든 상황에 낳은 사람들이 키우는데 부담을 덜어주겠죠
    • 프로필 이미지
      JOSIS
      작성자
      부모가 경제적 부담에서 벗어나면 가족 간 유대가 강화되고, 아이가 더 안정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어요.
  • 프로필 이미지
    햇살
    낳는것만이 중요한게 아니라 잘 키우는게 더 중요하죠
    • 프로필 이미지
      JOSIS
      작성자
      맞아요 그래서 아동수당 확대는 아이와 부모 모두에게 안정과 희망을 주는 정책으로, 사회적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ㅎㅎ
      
  • 프로필 이미지
    minimoni
    부모가 아동수당 덕분에 마음 편히 육아할 수 있어야 해요.
    • 프로필 이미지
      JOSIS
      작성자
      동의요 ㅠㅠ부모가 매달 아동수당을 받으면 갑작스러운 생활비 지출 부담이 줄어들고, 아이에게 더 좋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요
  • 프로필 이미지
    #given
    부모가 받는 아동수당이 꾸준하고 충분할 때, 육아로 인한 경제적 불안감이 줄고 아이와의 관계도 더 안정적이고 행복해져요.
    • 프로필 이미지
      JOSIS
      작성자
      나이 제한 확대는 모든 아이가 공평하게 보호받고 지원받는 사회를 만드는 중요한 출발점이아닐까요
  • 프로필 이미지
    기리
    아동수당 확대보다도 근본적으로 아이 키울 수 있는 사회구조를 만들어주는 게 나아보여요
    • 프로필 이미지
      JOSIS
      작성자
      그쵸 그나저부모가 경제적 지원을 받으면 가족이 더 행복해지고, 아이도 건강하고 밝게 자랄 수 있어요.
      
      
  • 프로필 이미지
    정민구#GEWQ
    무엇보다 꾸준한 정책으로 나아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