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천역 일대에서 일부 유튜버들의 과도한 촬영 행위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시민들의 일상 공간인 공공장소에서, 허락 없이 일반인을 촬영하거나 자극적인 콘텐츠를 만드는 행태가 반복되며 지역 사회의 불편과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표현의 자유’라는 이름 아래 진행되는 이 같은 행위가 과연 어디까지 용인될 수 있을까요?
유튜브는 개인의 창의력과 개성을 발휘할 수 있는 훌륭한 플랫폼입니다. 하지만 그 자유는 타인의 인권과 공공질서를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보장되어야 합니다. 최근 부천역 유튜버 논란을 보면, 일부 유튜버들이 조회수를 위해 시민의 얼굴을 무단으로 촬영하거나, 불쾌한 언행으로 주목을 끌려는 모습을 자주 보입니다. 이로 인해 시민들은 불안감을 호소하고, 역 주변의 분위기 또한 위축되고 있습니다. 공공장소는 누구나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특정 개인의 이익을 위한 무분별한 촬영이 그 기본 원칙을 흔들고 있는 것입니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콘텐츠들이 단순한 ‘개인 채널의 자유’로 포장된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공적 공간’에서 ‘타인의 동의 없는 촬영’을 콘텐츠화하는 것은 명백히 사생활 침해이자 인격권 침해입니다. 실제로 초상권 침해나 불법 촬영 관련 분쟁은 꾸준히 늘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 비용으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부천시의 제재 논의는 단순히 한 유튜버를 향한 탄압이 아니라, 공공질서와 시민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고 생각합니다. 시는 공공장소 내 촬영 규정을 명확히 하고, 사전 허가제나 신고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동시에 시민 역시 무단 촬영 피해 시 신고할 수 있는 창구를 알고, 적극적으로 권리를 주장해야 합니다.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의 영향력은 이미 방송에 버금갑니다. 그렇다면 그만큼의 책임과 윤리의식도 따라야 합니다. 단순히 재미나 조회수를 위해 누군가의 일상과 인권을 희생시키는 콘텐츠는 결코 사회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결국 이 논란은 ‘누구의 자유가 더 중요한가’의 문제가 아니라, 공존을 위한 선의 경계선을 다시 그어야 한다는 신호입니다. 부천역 유튜버 제재는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모두가 안심하고 거리를 걸을 수 있도록 하는 최소한의 장치입니다. 개인의 자유가 타인의 불편함을 넘어설 때, 그것은 더 이상 ‘자유’가 아니라 ‘이기심’입니다.
부천역을 비롯한 모든 공공장소가 다시 시민의 공간으로 회복되길 바랍니다. 콘텐츠의 윤리와 공공의 안녕이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이제는 플랫폼 사회의 책임을 진지하게 논의해야 할 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