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곳은 특이 사례고 현 한국의 사정과는 너무 맞지 않아 보여요

개인에 1억의 지원을 해줄리도 없겠지만

오히려 사회제도적으로 아이를 낳고 난 이후에도 

부모가 사회생활을할수 있게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것이 더 급해 보입니다

현시적으로 맞벌이 아니면 먹고 살기 힘든 경우가 대부분인데 아이 키우면서 특히 0~9세 정도에 정규 교육 외의 시간에 부모가 아이돌보는게 매우 힘들거든요 이때문에 보통 엄마가 회사를 그만두게되는데 

이뒤로 경력 단절 문제가 심각합니다 아이 다키우고 나면 40이렇게 되는데

결국 커리어 못살리고 허드렛일 최저임금 받으며 일해야 하죠 이렇게 될바엔 걍 돈벌겠다는 여자들이 많은데 이런 사정을 고려해 아이 돌봄 시스템이 더 강화됐으면 합니다

0
0
댓글 15
  • 프로필 이미지
    뷰리플
    돌봄시스템이 중요한것 같네요.
    • 프로필 이미지
      김민정#F2UL
      작성자
      맞아요
      
      
      사회 구조가 안정되지 않으면 지원금이 있어도 아이를 낳으려는 사람이 많지 않을거라 생각헤ㅐ요 
      
      
      
      
      
  • 프로필 이미지
    정오9399#b9sE
    현 한국사정과는 안 맞아보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김민정#F2UL
      작성자
      
      
      출산을 장려하려면 육아 환경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해보여요
      
      
      
      
      
  • 프로필 이미지
    미라클모닝7#YZy8
    그쵸 저건 특이사례라고 할 수 있네요
    • 프로필 이미지
      김민정#F2UL
      작성자
      
      
      지원금보다 중요한 건 아이를 키우는 부담을 줄여주는 정책아닐까요?ㅎㅎㅎ
      
      
      
      
      
  • 프로필 이미지
    이재희#CU21
    돌봄시스템강화도
    정말 중요포인트에여
    • 프로필 이미지
      김민정#F2UL
      작성자
      그쵸 
      
      
      주거 안정과 교육비 부담 해소 없이는 출산율을 올리기 어렵다고봐요
      
      
      
      
      
  • 프로필 이미지
    눈누난나거
    경력단절의 이유로 애낳는걸 꺼린다면 이거에 대한 해결이있어야한다생각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김민정#F2UL
      작성자
      그쵸 양육 환경이 개선되지 않는 한 지원금만으로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봐요 
  • 프로필 이미지
    메이설
    실질적인 꾸준한복지가 필요한것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김민정#F2UL
      작성자
      맞아요 단기적인 지원보다는 장기적으로 육아 부담을 줄이는 정책이 필요하다봐요
  • 프로필 이미지
    루핑
    저도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리틀토토#n2Of
    맞아요 좋은일이긴한데 현시점이랑 조금 거리가있네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출산율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이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만드는게 우선 아닐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