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장려금에 실효성을 논할 필요가 있을까

애는 없지만 맞벌이를 하는 부부가 출산 후 1세도 안된 아이를 두고 고민하는데 돌봄공백인 것 같습니다. 사회적 현상에서 비롯된 문제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외부 지원금은 둘봄문제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제 해결에 기초적인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1
0
댓글 17
  • 프로필 이미지
    Jess
    일단 돈을 주고 다른사람에게 맡겨라, 돌봄교실 보내라보다
    아이랑 보낼 수 있는 시간 자체를 만들어줘야하는데..
  • 프로필 이미지
    펭수
    근본적인 대책은 아니라고 봅니다.
  • 프로필 이미지
    YJ#DARN
    돌봄공백 중요한 극복문제라고 생각해요
  • 프로필 이미지
    이영찬#Q1bY
    임시방편이라도,  이런 기업이  출산을 위해 돈을 쓰는 것은 바랍직해 보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금두꺼비
    전체적으로  국가가   이 문제를 해결해 주시길 바랍니다. 
  • 프로필 이미지
    zntkskzlzy
    8 실질적인 실효성이 필요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뚜딘21
    돈은 부가적인 이유인 것 같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채소걸
    그러니까 말이죠 ㅠㅠ 저두 공감!
  • 프로필 이미지
    김대박#k7f1
    정말 멋진기업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봄이오면
    돌봄공백을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 개선이 필요해보여요 
  • 프로필 이미지
    happyday
    잘 해결되길 바랍니다 
  • 프로필 이미지
    더워더워
    지원금보다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시급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김지순#3045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해봅니다
  • 프로필 이미지
    겨울바람
    돌봄공백을 해결하는것도 중요하겠군요
  • 프로필 이미지
    잘생긴아구찜
    맞벌이하는 부부가 늘어나는 것도 슬프네요
  • 프로필 이미지
    J C#ifB5
    동의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김민정#F2UL
    
    
    보육 시설 확충과 육아 휴직 제도 개선이 더 중요해보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