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회 할말이슈] 주4일제의 장점과 단점

 

저는 주 4일제에 개인적으로 찬성하는 쪽입니다.

다만, 주 4일제의 단점과 장점을 면밀히 살펴보고 점차적으로 시행해서

장시간 근무를 국가적으로 줄여나갈 수 있도록 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노동시간을 언급하려면, OECD 국가 평균 노동시간을 알아보는게 좋겠네요.

OECD DATA에 따르면 2022년 기준으로 한국은 4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1위 멕시코, 2위 코스타리카, 3위 칠레, 4위 대한민국순으로 평균치를 보면,

1년에 멕시코는 2226시간, 코스타리카는 2149, 칠레는 1963, 대한민국은 1901시간을 일한다고 합니다.

OECD 국가의 1년 근무시간 평균치는 1752시간입니다.

 

https://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ANHRS#

통계 출처

 

OECD 평균치에 단순 대비해도 200시간을 1년에 더 일하는 셈이고,

그만큼 내 자신이 쓸 수 있는 시간이 200시간이나

평균적으로 부족하다는 뜻이죠. 하루에 1시간 운동을 해도 1년치 운동할 수 있는 시간이 날아간 셈이네요.

 

주 4일제는 재택근무, 유연근무등 여러 근무 형태 중 하나 입니다. 도입하기에 앞서 간략하게

장단점을 살펴보는게 좋겠습니다.

 

주 4일제의 장점

1) 업무에 대한 효율성 증가: 근무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낭비하는 시간을 줄여 최대한 집중하여 같은양의 업무를 짧은 시간에 끝내려고 하는 심리를 자극할 수 있다.

2) 인재 유치에 유리: 짧은 근무시간은 개인의 시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므로 인재들이 해당 회사를 선택할 확률이 높아진다.

3) 개인, 더 나아가서는 가족, 국가적으로 심신의 건강 증진: 앞서 언급했듯이 시간이 더 생기면서 개인의 건강을 관리하고, 심신을 돌볼 시간이 늘어난다.

4) 소비 경제 활성화: 개개인의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그에 따른 레저, 취미, 학습 등 여러 방면에서 소비 활동을 촉진하게 된다

5) 출산율에 영향: 정확하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가족과 보낼 수 있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출산율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기대된다.

 

주 4일제의 단점

1) 임금 감소: 근무시간이 축소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임금이 적어질 수 있다.

2) 업무 부담의 증가: 역시 근무 시간이 축소됨에 따라 타이트하고 높아진 업무 강도에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다.

3) 고객 불만 증가: 5일에서 4일로 근무가 줄어들면서 즉각 대응을 원하는 고객들의 서비스불만에 대한 컴플레인이 증가할 수 있다

 

물론, 장점과 단점이 모든 제도에는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다만 이제 한국도 잘 사는 국가에 속해있고,

개개인의 삶의 질과 인식을 높여야 하는 숙제가 앞에 놓여있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일은 시간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여유로운 문화생활 그리고 그에 대한 노동시간의 감소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노동시간의 감소로 인해 업무로 인한 매여있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면 사회적으로 좀 더 여유롭고 너그러운 분위기가 형성되는데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다만, 모든 분야가 4일제를 적용할 수 없고 임금문제가 가장 중요하리라 봅니다.

격일제로 선 시행을 해본다던가, 교대를 적용해본다던가 하는 여러가지 방법을 시도해보고

계도기간을 통해 맞는 제도를 찾아낼 수 있을겁니다.

 

0
0